본문내용 바로가기
공공주도 해상풍력 첫발…한전ㆍ동서ㆍ남부발전 등 낙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9-02 20:19:30   폰트크기 변경      
4개 프로젝트, 총 689㎿ 규모 선정

일반형 입찰은 2개 프로젝트 모두 탈락

정부 “해상풍력 시장 지속 확대”


전북 서남권해상풍력 전경./ 한전 제공. 그래픽:한슬애 기자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공공이 주도하는 해상풍력 프로젝트 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닻을 올렸다. 사업자로는 한국전력과 동서발전, 남부발전이 참여하며 국내 해상풍력 시장의 주도적인 플레이어로 등장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2025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공공주도형 입찰에 참여한 4개 프로젝트, 총 689㎿ 규모의 사업이 모두 낙찰됐다.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은 올해 처음 도입된 시장으로, 사업자가 일정 기준 이상의 공공기관 참여지분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형 입찰과 차별화된다.

이번에 선정된 프로젝트는 △서남권해상풍력 시범단지(400㎿, 한국해상풍력㈜) △한동ㆍ평대해상풍력(110㎿, 동서발전ㆍ제주에너지공사) △다대포해상풍력(99㎿, 남부발전ㆍ코리오제너레이션) △압해해상풍력(80㎿, 한국전력기술ㆍ씨지오ㆍ현대건설) 등이다.

이 중 가장 큰 규모인 서남권해상풍력의 사업자는 한국전력과 6개 발전자회사들이 공동으로 출자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네 사업 모두 공공의 지분이 포함돼 있고, 발전기에 적용되는 풍력터빈도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산 주기기를 도입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낙찰된 발전사업자는 생산 전력을 20년간 고정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를 위해 2030년까지 14.3GW 규모의 해상풍력 보급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동안 낙찰사는 글로벌 개발사 중심으로 선정돼 왔다. 하지만 공공주도형 입찰을 통해 공공기관이 주요 플레이어로 등장하면서 향후 시장도 재편될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같은 방향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RPS) 제도 취지에도 맞는다. 국내 발전공기업들은 RPS 제도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신재생 발전을 해야 하는데, 그동안은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구매하는 형태로 이 비율을 충족해 왔다. 이 때문에 REC 현물시장의 왜곡 현상이 발생했고, 발전공기업들이 직접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20년간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되는 정부 입찰 사업을 통해 발전공기업이 신재생 발전사업을 하면 현물시장의 가격 급등락 현상도 잦아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입찰에서 일반형 입찰용량은 750㎿ 내외로 공고됐으나 입찰에 참여한 2개 프로젝트(844㎿)는 모두 고배를 마셨다. 이들 사업은 외국산 터빈 도입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는데, 최근 해상풍력 경쟁입찰에서 안보 및 공급망 평가가 강화된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산업부 관계자는 “해상풍력 시장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명확하다. 공공주도형 입찰시장 신설 계획을 꽤 오래전부터 이야기해 왔고, 안보 및 공급망 평가를 강화하겠다는 시그널도 지속해서 시장에 전달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해상풍력은 비용이 많이 드는 대규모 사업이고, 관련 인허가도 많다. 어느 한쪽만이 아닌 공공과 민간이 함께 추진해 나가야 할 분야”라며 “정부는 입찰물량 사전 제시 등 사업자들의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한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했고, 앞으로도 긍정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보훈 기자 bb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건설기술부
신보훈 기자
bba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