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년간 결혼 건수가 거의 반토막이 됐다. 이 기간에 태어난 아기는 3분의 1로 축소됐다.
통계청은 3일 이같은 내용의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혼인ㆍ출생 변화’를 발표했다.
혼인 건수는 1995년(39만8500건)에서 1996년(43만4900건)으로 늘며 정점을 찍었으며 2022년 19만1700건까지 줄었다.
코로나19 시기를 지나면서 2023년 19만3700건, 2024년 22만2400건으로 2년 연속 증가했으나 30년 전에 비하면 44.2%로 절반에 가까운 수치다.
이 가운데 외국인과의 결혼은 1995년 1만3500건에서 지난해 2만800건으로 53.9% 늘었다. 전체 혼인 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4%에서 9.3%로 확대됐다. 10건 중 1건은 다문화 결혼인 셈이다.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 간 결혼이 1995년 1만400건에서 지난해 1만5600건으로 50.7% 늘었다. 한국 여자와 외국 남자의 결혼도 3100건에서 5000건으로 64.2% 증가했다.
평균 초혼 연령은 1995년 남자 28.4세, 여자 25.3세에서 지난해 남자 33.9세, 여자 31.6세로 남자는 5.5세, 여자는 6.2세 높아졌다.
출생아 수는 1995년 71만5000명에서 급감해 2023년 23만명으로 최저를 기록한 후 지난해 23만8000명으로 소폭 늘었다. 30년간 66.7% 감소한 것이다.
노태영 기자 fac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