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오너 바뀐 티웨이항공ㆍ에어프레미아, 임직원 복지 축소 ‘논란’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9-05 05:20:20   폰트크기 변경      

티웨이항공, 대명소노그룹 인수 이후 가족 우대항공권 폐지ㆍ경조사비 축소 추진
에어프레미아, 김정규 타이어뱅크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 주도로 비용 절감 방안 모색


[대한경제=김희용 기자] 새로운 오너 체제로 전환된 국내 항공사들이 임직원 복리후생을 대폭 개편하며 내부 반발이 커지고 있다. 새로운 경영 방침에 따라 개편 과정을 거치는 중인데, 임직원들은 사실상 복지 축소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명소노그룹이 경영권을 인수한 티웨이항공은 최근 임직원을 대상으로 통합복리후생 설명회를 개최했다.

개편안의 골자는 기존 항공사 직원들의 대표적 혜택을 축소하고 소노그룹 계열사 시설 이용 혜택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티웨이항공 보잉 737-8 항공기 / 티웨이항공 제공


개편안에서는 임직원들의 복리후생인 TED3 제도와 미혼 형제ㆍ자매, 자녀 배우자까지 적용되던 우대항공권이 폐지됐다. 자녀 결혼 시 제공되던 우대 항공권과 퇴직자 우대 항공권도 중단되며, 출장자 비즈니스석 업그레이드 혜택도 사라진다.

자녀 학자금과 경조사 비용도 대폭 줄었다. 대학 학자금은 7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결혼 축하금은 10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줄었다. 결혼 휴가 역시 7일에서 5일로 감소됐다. 이밖에 독감 주사와 40세 미만 건강검진 혜택도 삭제됐다.

대신, 소노 계열사를 활용한 혜택이 늘어났다. 개편안에서는 성수기를 제외하고 객실과 부대시설 이용 가능한 복지 포인트가 연 450만원 제공, 전 직원 골프 할인혜택과 M2 이상 직급별 무료 이용권 제공 등의 혜택이 신설됐다.

이에 대해 티웨이항공 내부에선 거센 반발이 터져나오고 있다. 우대항공권 혜택이 축소되고 자녀 학자금 금액이 줄어드는 것은 임금 삭감 효과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한 티웨이항공 직원은 “가족 우대항공권은 항공사 직원의 가장 기본적인 복지인데 이마저 없애면서 리조트 할인을 준다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명절이나 휴가철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던 혜택을 없애고 모든 직원이 자주 이용하기 어려운 시설 할인으로 바꾸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일부 티웨이항공 직원들은 고용노동부에 ‘티웨이항공 복지제도 축소 폐지 관련 근로기준법 위반 진정서’를 제출한 상태다.

내부 반발이 커지자 티웨이항공 측은 “지난번 진행한 통합복리후생 설명회는 직원들의 의견 청취를 하기위한 1차 설명회였으며, 직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금주 후반 2차 설명회를 진행 예정”이라며 “이후 기존(안)과 새로운(안) 중 선택하는 과정을 거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타이어뱅크가 인수를 확정한 에어프레미아도 비슷한 상황이다.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은 에어프레미아 기업 실사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지출되는 비용이 많다는 점을 지적하며 비용 절감 방안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따라 에어프레미아에서는 일부 노선에서의 비용 절감 작업이 이뤄진 상태다.

에어프레미아의 다낭 노선의 경우, 수ㆍ목ㆍ토ㆍ일 운항 중 일요일 근무자들에 대한 근무 방식을 ‘퀵턴’으로 변경했다. 퀵턴은 항공기가 목적지에 도착한 뒤 현지 체류나 휴식 없이 곧바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직원들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에어프레미아 항공기 / 에어프레미아 제공

이와 함께 하와이 노선에서도 승무원들의 체류하는 호텔을 기존보다 저렴한 시설로 변경했다.

이와 관련해 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하와이 노선은 올해 여름 첫 취항을 했는데, 성수기 시기라 높은 가격의 시설을 구한 것이었고 계약기간이 만료돼 일반 비즈니스호텔로 옮기게 된 것”이라며 “다낭 노선의 퀵턴 근무자들 역시 2개의 팀을 나눠 돌아가며 휴식권이 보장되는 형태로 근무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과도한 임직원 복리후생 축소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엔데믹 이후 항공 수요가 급증하면서 현장 직원들의 업무 강도가 이미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직원 복지 축소는 단기적 비용 절감 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인력 이탈과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이어져 기업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김희용 기자
hyo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