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서울영화센터, 특정집단 전유물 아냐… 왜곡 말라”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9-04 16:25:00   폰트크기 변경      
영화감독협회 등 영화계 6개 단체, 서울시 지지성명

과거로 회귀 말고…한국영화 전체공간돼야


서울영화센터 조감도


[대한경제=임성엽 기자] 올해 하반기 개관을 앞둔 서울영화센터의 명칭과 용도를 전 시장 당시 계획대로 ‘원안 복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범 영화계가 뜻을 모아 반박하는 목소리를 냈다. 서울시의 명칭 결정과 서울경제진흥원의 위탁운영 방식이 오히려 공정하고 합리적이란 것이다.

한국영화감독협회, 시나리오작가협회 등 영화계 6개 단체는 4일 “서울영화센터는 충무로의 역사와 미래를 잇는 한국 영화 전체의 공간이어야 한다”는 제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앞서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는 고전, 비상업 독립, 예술영화를 전문적으로 상영하는 전용공간 마련을 요구했다. 이에 2014년 박원순 전 시장 때 시네마테크 건립을 추진했다.

그런데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 재임 후 시네마테크 건립계획을 조정했다. 시대적 변화를 고려해 기존 시네마테크의 아카이빙(저장) 기능을 수장고 역할로 대체했다. 명칭은 단일 기능 전용관으로 축소될 수 있는 ‘시네마테크’ 대신 모든 영화를 아우르며 한국영화의 과거와 미래를 설계하는 열린 문화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서울영화센터’로 변경했다.

6개 단체는 우선 시네마테크 기능은 이미 상암동에서 충분히 수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단체는 “상암동 한국영상자료원은 시네마테크 전용관과 아카이빙 시설을 갖춰 충실히 운영되고 있다”며 “충무로의 영화센터 예산을 다시 아카이빙이나 시네마테크로 돌리자는 주장은 중복적이며 비효율적 발상”이라고 말했다.

특히 OTT 서비스의 발달로 어떤 영화도 언제 어디서든 쉽게 접할 수 있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영상자료원과 동일한 기능의 시네마테크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세금 낭비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서울영화센터라는 명칭도 충분한 논의와 숙고의 결과라고 반박했다. 6개 단체는 “지난 2년간 운영자문위원회 회의와 현장 검토를 거쳐 건물 정체성과 예산집행의 공정성, 지역상권과의 연계, 시민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라고 말했다. 사회적 합의를 무시한 독단적 결정이 아니라 오히려 폭넓은 합의의 산물로 ‘서울영화센터’라는 이름이 결정됐다는 설명이다.

끝으로 “센터는 특정집단의 전용공간이 아니라 한국영화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공공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며 “영화인과 시민 모두가 즐겨 찾는 문화공간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임성엽 기자
starleaf@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