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지사가 지난 3일 도청 집무실에서 ‘근로감독권 실행 전략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사진 : 경기도 제공 |
[대한경제=박범천 기자]정부가 ‘산업재해 국가책임 실현’을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고용노동부가 ‘근로감독권의 지방위임’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김동연 지사가 지난 4일 “근로감독권 위임 정책의 ‘테스트베드’가 되겠다”고 밝혔다.
앞선 3일 열린 근로감독권 실행 전략 점검회의에서 이같이 강조한 김 지사는 “새 제도가 착근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지도 모르는 만큼, 산재예방의 경험과 노하우가 있는 경기도가 전국 지자체 가운데 대표 모델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경기도는 이미 노동안전지킴이들의 현장 지적을 통해 산업안전과 관련한 모니터링 경험을 축적해 7월말 기준 개선율이 85.2% 달한다.
김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뜨거운 아이스커피’처럼 접근해야 한다”면서 완벽한 사업 추진을 위한 ‘냉정한 준비’를 주문했다.
산업재해로부터 현장 노동자의 생명·안전을 지키겠다는 의지는 뜨겁게, 필요 인력과 예산의 준비는 차갑고 철저하게 하자는 역설적 표현이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 3일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근로감독권 위임에 대비한 특별조직(합동 TF)을 구성한 바 있다.
김동연 지사는 결론적으로 “경기도가 테스트베드가 되어 노동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동시에 기업은 장기적으로 위험요인을 줄여 종국에는 기업과 노동이 함께 ‘레벨업(성장)’할 수 있는 ‘전환점’을 만들어 나가자”고 당부했습니다.
한편 김 지사는 지난 14일 의왕시의 한 건설공사 현장을 찾아 “모두가 웃으며 일터에서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여정의 맨 앞에 서겠다”며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노동자 없게 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경기=박범천 기자 pbc200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