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정 대표, 여당 많이 가졌으니 더 많이 내어줘야”
張 “무리한 특검, 인권유린ㆍ종교탄압으로 비칠 수 있어“
![]() |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대화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사진기자단 |
[대한경제=조성아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8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의 오찬 회동에서 ‘협치’를 강조하며 정 대표를 향해 “정 대표님은 여당인데 더 많이 가지셨으니까 더 많이 내어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이 정기국회를 극한 대치 상황에서 시작한 여야 간 협치 계기를 만들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대통령과 여야 대표는 이날 낮 12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첫 여야 대표 오찬 회동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빨간색ㆍ파란색ㆍ흰색이 섞인 줄무늬 넥타이를 착용하고 등장했다.
“손을 잡고 찍으면 어떨까요”라는 이 대통령의 제안에 세 사람은 손을 맞잡고 미소를 지었다. 이 대통령을 사이에 두고 정 대표와 장 대표가 환하게 웃으며 악수도 나눴다. 정 대표는 그간 비상계엄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면서 “악수는 사람과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힘 인사들과의 악수를 거부해왔다.
장 대표는 “오늘 제가 정청래 대표님하고 악수하려고 당대표 되자마자 마늘하고 쑥을 먹기 시작했다. 미처 100일이 안 됐는데, 오늘 이렇게 악수에 응해 주셔서 감사드린다”는 ‘뼈 있는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며 “야당 대표뿐 아니라 야당을 통해 들리는 국민의 목소리도 최대한 많이 듣겠다”고 밝혔다.
장 대표가 “정치를 복원하는 데 대통령이 중심 역할을 해달라”고 말하자, 이 대통령은 “공감 가는 부분이 많다. 실제로 그렇게 하고 싶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여야가 과하게 부딪히면서 정치가 국민을 위한 일인지, 특정 이익을 위한 것인지 혼란을 주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특히 “민생을 살리고 정치를 복원하고자 한다면 지금 특검을 연장하겠다는 법안이나 특별재판부를 설치하겠다는 법안에 대해선 대통령이 과감하게 재의요구권을 행사해주십사 하는 건의를 드린다”라고 요청했다.
또 여당의 ‘입법 폭주’ 상황을 거론하며 “상법, 노란봉투법이 통과됐고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해 강력한 적용을 말씀하시면서 건설경기 악화, 내수 부진, 자영업자 폐업 증가 등 악순환이 계속된다”며 “기업들이 숨 쉬고 원활히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달라”고 말했다.
장 대표는 아울러 “민생과 경제를 위해 대통령께서 정부와 여당, 야당이 함께 머리를 맞댈 수 있는 소통 창구를 만들어 주고 그 소통 창구를 계속 열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정 대표는 “말씀하신 소통의 창구가 굉장히 중요한 것 같다”며 “장동혁 대표님과 악수할 기회를 주셔서 (이 대통령에게) 감사드린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도 ‘내란세력’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내란에 가담한 내란 우두머리와 주요 임무 종사자, 부화수행한 내란 세력들을 철저하게 척결하고 처벌의 역사에 교훈으로 남겨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검찰ㆍ언론ㆍ사법개혁’에 대해서는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좋은 대안도 제시하고 좋은 토론도 해서 좋은 결과를 이끌어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을 향해서는 “대통령께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말씀을 하셨는데, 오늘은 ‘하모니 메이커’가 된 것 같다”며 “대통령님 주선으로 여야가 만났으니 향후 건설적인 여야 대화가 복원되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강조했다.
회동 후 브리핑에서 여야정은 민생 해결을 위한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오찬 회동이 끝난 뒤 오후 1시 20분부터 장 대표와 이 대통령 간 비공개 단독 회동이 약 30분간 진행됐다.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 자리에서 장 대표는 청년고용대책,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상향 조정, 지방건설경기 활성화 등 구체적 민생 정책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관련 부처와 협의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조성아 기자 jsa@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