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EU 대표부 참사관 “에너지 비용 상승 적극 대응해야”
한전 전력연구원장 “전력망 건설에 수백조…비용효과적 운영 필요”
![]() |
반 하툼 참사관이 EU 기후에너지 정책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신보훈 기자 |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글로벌 기후위기와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무탄소 청정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전기안전공사가 9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 광개토홀에서 개최한 ‘제17회 국제 전기안전 세미나’에서는 글로벌 에너지 정책 트렌드를 짚어보고, 미래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월터 반 하툼 주한 EU 대표부 공사 참사관은 “유럽은 현재 에너지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코로나19 이후 급격한 경기 반전과 기상이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문제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 하툼 참사관은 청정에너지 전환 관련 비용상승에 대한 저항을 언급하면서 에너지 효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효율성을 높여야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EU는 기술ㆍ절약을 통해 2030년까지 에너지 사용량을 11.7%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현재 EU는 사용전력의 절반 이상을 재생에너지원에서 얻고 있다. 에너지믹스 차원에서 보면 재생에너지가 52%, 원자력 24%, 화석연료 24%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 하툼 참사관은 “에너지와 기후변화 어젠다에 있어서 협력을 강화해야 하고 모멘텀을 잃어서는 안 된다”며 “온실가스를 감축하면서 경제 성장을 추구할 수 있어 두 어젠다가 함께 갈 수 있다. 에너지를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미래를 위한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 |
심은보 전력연구원장이 국내 전력망 운영 현황 및 기술적 과제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신보훈 기자 |
국내 에너지 정책에 대해선 미래 전력망의 변화 및 과제를 중심으로 심은보 한국전력 전력연구원장이 나서 설명했다. 심 원장은 “산업전기화ㆍ전기차ㆍ수소경제 등으로 인해 전력수요는 2배 증가하고, 같은 기간 화력발전은 급격히 감소할 것”이라며 “전력 수송분야에선 비용이 막대하게 들어갈 거다. 글로벌로 2030년까지 1000조원, 국내에선 2038년까지 송변전 등에 150조∼200조원이 투자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심 원장은 “앞으로 전원과 부하가 대부분 직류(DC)로 넘어가고 있고, 전력망도 DC로 전환되고 있다. 앞으로는 교류(AC)ㆍDC 하이브리드 계통 구성이 불가피하다”며 “수백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건설비는 너무 큰 부담이다. 어떻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망을 건설 및 운영하느냐가 과제”라고 말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이슈로는 무탄소전원으로의 단계적 전환을 꼽았다. 그는 “현재 화력과 LNG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런 발전원을 수소나 암모니아 등 무탄소 전원으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라며 “전환은 단계적으로 가야 하는데, 그 사이의 배출되는 탄소는 CCUS(탄소포집ㆍ활용ㆍ저장)로 관리할 계획이다. 치명적인 온실가스인 SF6(육불화황) 원천 차단기술도 개발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올해로 17회째를 맞은 국제 전기안전 세미나는 전기안전 기술교류를 통한 글로벌 전기안전 생태계 조성을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주최한 ‘대한민국 전기안전 콘퍼런스’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관련 행사는 10일까지 이어진다.
신보훈 기자 bb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