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미지투데이. |
![]()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한국 경제 성장세 둔화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되는 건설투자 부진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금융 불균형 심화를 우려하며 단기 부양책을 통한 대응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11일 한은이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5년 9월)’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투자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5%포인트(p)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올해는 -1.2%p까지 성장률을 끌어내릴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1990년대를 정점으로 건설투자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하락해 왔다”며 “2020년 이후로는 성장에 마이너스 기여를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번 부진은 경기 사이클 둔화뿐 아니라 지역 간 수급 불균형, 인구 고령화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문제는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은이 단기 부양책에는 선을 긋고 있다는 점이다.
한은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확대, 대출 규제 완화 등 건설투자를 단기간에 끌어올리는 방식은 부동산 부문으로의 신용 쏠림을 심화시키고 금융 불균형을 누적시켜 장기적으로 경제 체
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한은의 신중론과는 달리 경기 회복을 위해선 건설투자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은 단순히 건물을 짓는 데 그치지 않고 국가 경제 전반과 여러 산업과 긴밀히 연결된 기반 산업”이라며 “건설경기 침체가 연관 산업 전반으로도 확산될 수 있다. 내수 회복을 위해서는 건설투자 회복이 절실하고 이를 위해 정부의 예산 확대와 선제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