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이후 내리막 지속…설비 등 투자 부진 해소 없인 성장률 제고도 난망
![]() |
사진=대한경제 DB.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국내 건설투자 부진이 장기화되며 한국 경제 성장률을 제약하는 핵심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여기에 설비투자까지 동반 부진을 이어가며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건설투자 회복 속도가 더딜 것으로 보면서도 단기 부양책에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11일 한은이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5년 9월)’에 따르면 건설투자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1년 21.8%에서 지난해 13.9%로 하락하며 장기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건설투자의 성장기여도 역시 음(-)의 흐름을 보이며 경제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올해 건설투자 위축으로 인한 건설산업 및 연관 산업 전반의 피해 규모는 33조9500~55조5800억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 산업 투입액의 0.6~1.0%에 해당하며, 건설투자 부진이 없었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1.8%)을 넘어 2% 수준까지 가능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건설투자가 8.3%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감소폭이 0% 수준으로 회복된다면 올해 성장률이 2.1%까지 올라갈 수 있을 정도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번 보고서에서 건설투자 부진의 원인을 상세히 분석했다.
건설투자는 2017년 이후 장기간 하락 국면을 이어오고 있다는 설명이다.
2013~2017년까지는 완화적 금융여건과 정부 정책 지원에 힘입어 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급등세를 보였지만, 2017년 하반기 이후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와 긴축적 금융 환경 전환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팬데믹 초기에는 유동성 공급으로 일시 반등했으나, 이후 공사비 급등·금리 상승·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수주와 착공이 모두 위축됐다. 최근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까지 겹치며 건설투자 감소폭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건설현장 안전사고 등 이례적 요인까지 겹치며 경기 악화를 부추겼다.
설비투자도 부진했다. 분기별로는 1분기 전기 대비 0.4% 감소로 전환됐고, 2분기에도 2.1% 감소를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기계류가 비(非)IT 부문 업황 부진과 반도체 제조용 장비 투자 조정 등의 영향으로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건설투자 부진은 경기적 요인뿐 아니라 인구 고령화, 주택 수요 둔화, 상업용 부동산 공급 과잉 등 구조적 원인이 크다”며 “단기 부양책으로 대응할 경우 부동산 부문 신용 쏠림과 금융 불균형이 심화돼 경제의 지속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지난해 수주·착공 실적 개선 효과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며 단기적으로 일부 회복 가능성은 있지만, 부동산 공급 과잉 등 구조적 요인으로 회복 속도는 더딜 것으로 분석했다.
최창호 한은 통화정책국장은 “최근 건설투자 부진은 2017년 이후 부동산 경기 하락세와 구조적 하방 압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향후 대형 토목 공사 진척 등으로 완화되겠지만 회복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말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