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박흥서 기자]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은 매년 약 3000여건 발생하는 해양사고 중 10%를 차지하는 충돌·접촉·좌초 등 교통 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국 19개소의 선박교통관제센터(VTS) 운영을 대폭 강화한다고 12일 밝혔다.
VTS센터는 24시간 선박의 움직임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위험 상황 발생 시 즉시 안전한 곳으로 유도해 사고를 사전에 차단한다. 또한 항만 운영, 도선·예선 안내 등 물류 지원과 함께 사고 발생 시 초동조치 및 구조세력의 신속한 출동을 지원하는 핵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
전국 해상교통관제(VTS) 구역도 |
해양경찰청은 지난 10년간 관제 인프라를 꾸준히 확충해왔다. 서해 5도를 포함한 경인·태안연안 VTS센터 2개소와 군산·목포·제주 광역 VTS를 신설하였으며, 오는 2026년에는 동해와 포항권에도 광역 VTS를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VTS의 핵심 장비인 레이더는 67대에서 101대로 늘어나면서 관제 면적은 19,336㎢에서 43,908㎢로 127% 확대됐다. 관제 면적이 두 배 이상 넓어진 가운데 교통 관련 사고 건수는 37건에서 41건으로 소폭 증가에 그쳐 정책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해양경찰청은 더욱 안전한 해양교통환경을 만들기 위해 세 가지 전략을 추진한다. 첫째, 2030년까지 전국 VTS 통합연계망을 구축해 19개 VTS의 관제정보를 통합·분석하고 현장세력 및 해양수산부 등 유관기관과 공유함으로써 사고 예방과 대응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둘째, 인공지능(AI)을 VTS에 접목해 비정상 운항에 따른 충돌·좌초 위험, 닻 끌림 자동탐지, 항로 혼잡도 예측 등을 분석하고 위험경보를 제공함으로써 관제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2024년 연구개발(R&D)을 통해 핵심 기술은 이미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이를 순차적으로 전국 VTS에 도입해 AI 기반 관제 모니터링 체계를 완성해 나갈 예정이다. 셋째, 2029년까지 130억 원을 투자해 차세대 디지털 VTS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음성 위주의 아날로그 해양통신 체계를 디지털화하여 관제정보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구 논의에 발맞춰 국제표준을 선점함으로써 해양산업 경쟁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은 “해양경찰은 첨단기술 도입을 통해 더욱 안전한 우리 바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안전은 모든 국민이 다 같이 노력할 때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박흥서 기자 chs05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