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위성락 “미국 법 개정을 통한 비자 신설…미국도 긍정적”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9-12 19:36:57   폰트크기 변경      

[대한경제=서용원 기자]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됐다 풀려난 사건과 관련해 12일 “장기적으로 미 국내법 개정을 통해 한국인 비자 쿼터를 만들거나 새 비자를 만드는 것을 적극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참에 한국 인력이 합법적으로 일할 방안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며 이같이 말했다.

위 실장은 단기ㆍ중기ㆍ장기 과제를 나눠 단계적 해법을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한국인 직원들이 발급받는 B1비자와 전자여행허가(ESTA)와 관련한 미 정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확인해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중기적으로는 비자 발급 기간의 단축, 발급 거부 감축, 소규모 협력사 비자 범주의 확대 등 현행 제도를 보완하겠다고 했다.

장기적 해법으로 미국 법 개정을 통한 비자 신설을 제시했다.
 
위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린 지시 중 ‘한미 간에 이런 상황이 생기지 않게 비자 제도를 어떻게 해 보라’는 지침이 있던 건 분명하다”며 “그에 따라 워킹그룹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고 미국 측의 반응도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워킹그룹 신설을 위한 실무협의도 진행 중이라고 했다.

한국 정부의 로비에도 미 의회 문턱을 번번이 넘지 못했던 ‘한국 동반자법’(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E-4 비자 쿼터 신설)과 관련해서는 “다시 노력할 것”이라며 “이런 일이 생겨 우리가 주장할 환경은 나아졌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이번 사태) 초기부터 미국에 유감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며 "우리의 이 같은 의사가 미국 측의 마지막 결정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했다.

석방 시 수갑을 채우는 문제로 귀환이 늦춰진 것에 대해서는 "일부 개인은 수갑을 차고라도 빨리 나오고 싶어 했다고 들었지만 정부는 반대했다"며 "안전, 품위, 인권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또 "귀국 시 체크리스트에 문제가 없었다고 적도록 안내했고, 미국도 양해했다"며 근로자들의 미국 재입국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구금된 근로자 중 임산부가 있었던 점에 대해서는 "초기부터 알고 있었고 미국과의 특별한 협의 대상이었다"고 했다.

위 실장은 "(이번 사태) 초동 단계 이후의 협의 과정은 그렇게 부정적이지 않았다"며 "우리 얘기를 경청하는 자세가 이어졌고, 마지막엔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주장에) 근접한 지침을 줬다"고 평가했다.

서용원 기자 anto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건설기술부
서용원 기자
anton@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