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가 지난 1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정청래 대표./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김광호 기자] 최근 특검법 여야 합의를 둘러싸고 지도부 간 내부 갈등이 표출됐던 더불어민주당이 봉합 수순에 들어갔다. 정청래 대표에게 공개 사과를 요구했던 김병기 원내대표가 합의 사흘 만에 공식 사과한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여전히 갈등의 불씨가 살아있단 분석도 나온다.
앞서 김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국민의힘과의 3대 특검법 개정안에서 추가로 수사 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인력 증원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민주당의 3대 특검법 개정안을 수정키로 합의했다. 이에 당내 강경 지지층과 강경파 의원들은 물론 정 대표까지 ‘수용 불가’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집중적으로 비난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김 원내대표는 지도부와 사전협의를 거쳤다고 반박했다. 그는 1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정청래한테 공개 사과하라고 하라”며 불쾌감을 드러낸 데 이어 SNS를 통해 “그동안 당 지도부, 법사위, 특위(당 3대 특검 종합대응특별위원회) 등과 긴밀하게 소통했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정 대표는 12일 의원총회에서 “내 부덕의 소치”라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이후 김 원내대표도 자신의 SNS에 “심기일전하여 내란 종식과 이재명 성부의 성공을 위해 분골쇄신하겠다”며 다짐했다.
김 원내대표의 사과로 갈등은 어느 정도 해소됐지만, 잔불이 남아 있는 모습이다. 당내 최다선인 추미애 법사위원장은 SNS에 “아마 원내대표단은 마감 시한을 설정해두고 매우 서둘렀던 것 같다”며 “지나친 성과 욕심에 점검해야 할 것을 놓친 것으로 보여 안타깝다”고 쓴소리를 했다.
이어 “대통령 말씀처럼 민주공화국의 본질을 훼손하려 한 것에 대한 진상규명을 해야 하는 특검법은 교환 대상이 아니라는 판단을 당과 진지하게 했어야 한다”며 “그것을 놓친 점은 매우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김 원내대표가 본인에게 특검법 여야 협상안 발표 1시간 전 전화했으나 소통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추 위원장은 “알아듣기 어려운 다급한 말로 뭐라 하는데 그때까지 원내합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조차 몰랐던 나로서는 일단 금시초문이라고 답했었다”고 썼다.
그러면서 “누구나 실수할 수 있으나 왜 실수했는지 복기해보고 다시 그 같은 일이 안 일어나게 한다면 이보다 더 보약은 없다”며 “새삼 잔불을 일으킨다는 우려도 하겠지만 당의 선배된 처지에 이번 일이 후일 반면교사가 되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이번 사태로 의원들 사이에서는 김 원내대표뿐만 아니라 정 대표 역시 리더로서 신뢰를 깎아 먹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내란척결과 개혁입법 등 산적한 과제를 앞둔 상황에서 정청래-김병기 ‘투톱 체제’ 갈등으로 신뢰 관계가 훼손되면서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와 대통령실 고위급 인사들까지 상황 수습에 나섰다. 대통령실과 총리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들은 14일 오후 서울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만찬을 겸한 회동을 갖는다. 대통령실에선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과 우상호 정무수석, 당에서는 정 대표와 김 원내대표가 참석한다.
당초 이번 회동은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등 현안 조율을 위해 김민석 국무총리가 소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특검법 개정안을 두고 불거진 당정 간 엇박자와 여당 내 투톱 간 갈등이 불거지면서 만남 필요성이 커지자 협의회를 개최하는 것이다. 이번 회동에선 3대 특검법 외에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등 각종 현안에 대한 논의도 오갈 전망이다.
김광호 기자 kkangho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