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16일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신전문금융업권 CEO 간담회에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사진:연합 |
[대한경제=이종호 기자]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여신전문회사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금융소비자 정보보호 강화에 대해 강조했다.
이 원장은 16일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카드사·캐피털사 등 14개 여신전문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열고 업계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그는 “최근 금융권의 사이버 침해사고가 단기실적에 치중하여 장기투자에 소홀한 결과는 아닌지 뼈아픈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금융소비자 정보보호를 위한 지출은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금융업을 영위하려면 기본이 되는 핵심투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카드업권은 전 국민의 정보를 다룬다는 점에서ㅊ무관용 원칙하에 대표이사가 직접 나서서 관련 법령에서 요구되는 보안대책의 수립 및 시행에 만전을 기해달라”며 “침해사고 등 긴급상황에서 소비자가 카드 사용중지 및 재발급 등 자기보호를 위한 방어권을 적시에 효과적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소비자 접근채널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달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소외계층에 대한 금융지원 강화를 위해 소멸시효 연장 자제, 고령층 카드포인트 사용 활성화 등을 추진하고 개인채무자보호법에 따른 자체 채무조정, 근로자 햇살론 확대 등 연체 차주의 재기지원과 취약계층 자금공급에 더 적극적인 관심을 둘 것을 당부했다.
내부통제 강화 및 건전성 관리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경영진이 앞장서서 내실있는 내부통제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내년 도입되는 책무구조도를 충실히 준비해 달라”며 “경기변동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자체 관리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해 달라”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여전사 CEO들은 취약차주 등 금융소비자 보호 및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 제고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부동산 PF 정상화, 가계부채 관리 및 지급결제업무 혁신 등을 위해 더욱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결제시장 경쟁 심화, 경기 둔화 등에 따른 수익성 저하 등 경영상 어려움을 언급하면서 취약차주에 대한 지원 확대와 여전사의 사업영역 확장을 위하여 금융당국의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종호 기자 2pres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