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통령도 우려한 ‘지방은행’…지역금융 살 길 찾을까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9-18 06:20:30   폰트크기 변경      

사진=대한경제 DB.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정치권에서도 지방은행의 위기감이 제기되면서 지역금융의 활로 모색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직접 지방은행 문제를 언급하며 지역금융 활성화 방안을 주문한 것이다. 연체율과 부실여신이 늘고 대형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사이에서 설 자리를 잃어가는 지방은행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지방은행이 사라진 것도 문제”라며 “지방 금융을 지원해 활성화하거나 성장시키는 방법, 지역 기업에 금융상 지원 혜택을 줄 수 있는 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방은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채 명목상 존재한다는 우려를 드러낸 것이다.

실제로 지역 경기 침체 속에 지방은행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상반기 순이익(2637억원)은 지방은행 가운데 최대 규모인 BNK부산은행(2517억원)을 넘어섰다. 지방은행들도 외국인 금융 확대와 인터넷은행과의 공동 대출 같은 협업 시도 등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건전성 지표도 악화됐다. 올해 2분기 기준 4대 지방은행(전북·광주·부산·경남)의 평균 고정이하여신은 3463억원으로 전년(2247억원)보다 55.5% 늘었다. 연체율 역시 0.675%에서 1.075%로 뛰었다. 지방에는 대기업의 3·4차 협력업체 등 중소기업이 밀집해 있어 경기가 나빠지면 부실이 빠르게 불어나는 구조다. 그럼에도 지방은행은 지역 기업 지원이라는 역할을 이어가야 해 리스크가 크더라도 대출을 쉽게 중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구조적 어려움은 지방은행의 경쟁력 약화에서 비롯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터넷은행과 시중은행이 지방에 진출하면서 지방은행의 생존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수도권 중심의 금융 환경 속에서 조달 금리나 서비스 경쟁력도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대통령은 지방 금융 활성화를 위해 정책금융 이자를 지방에 더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지 검토도 지시했지만 업계에서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지방 대출 금리를 수도권보다 낮추는 방안은 지방은행이 자체적으로는 불가능하다”며 “결국 정부 보조나 지자체 보증 같은 지원이 뒤따라야 하고 이를 통해 지방은행이 지역 기업에 더 많은 신용을 공급하고, 결과적으로 지역경제 선순환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역 금융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의견이 나온다.


이 연구원은 “거제도의 경우 조선업 대기업들이 지역에서 고용과 생산은 하지만 거래은행은 대부분 수도권 본사 은행이라 자금이 빠져나간다”며 “지역 기업이 일정 부분은 반드시 지역은행과 거래하도록 조건을 부여하면 지방은행 활성화와 지역경제 선순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금융부
김봉정 기자
space02@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