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건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23일 오전 한국은행 본부에서 개최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황건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23일 “금리 인하 방향은 분명하다”면서도 “집값과 가계부채 추세, 금융안정 여건을 감안해 시점과 속도를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위원은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집값이 완전히 안정돼야만 금리를 내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경제성장률 범위 안에서 가계대출이 관리되는지 봐야한다”고 전했다.
그는 “한은은 집값 자체보다 가계부채 문제를 더 우려한다”며 “이미 우리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고 덧붙였다.
황 위원은 경기 상황에 대해선 “수출과 소비는 예상보다 양호하지만, 건설 부문이 워낙 부진하다”며 “공사 중단 사례가 이어지고 있어 건설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9월에도 가계대출은 늘고 있다”며 “연간 성장률 수준 안에서는 관리 가능하다고 보지만 추석을 전후한 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 결정에 대해선 “시장의 기대처럼 연내 한 번 정도 인하는 필요하다고 보지만, 그 시점을 이번으로 할지 이후로 할지는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부동산 대책에 대해서는 “6·27 대책은 수요 측, 9·7 대책은 공급 측 대응이었고, 일정한 효과가 있었다고 본다”며 “다만 일부 지역에서 집값 반등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추가 대응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진단했다.
환율과 관련해 황 위원은 “수준 자체보다는 변동성 관리가 중요하다”며 “외환 당국의 대응 능력을 시장이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고 언급했다.
최근 한미 협상에서 거론된 통화스와프에 대해서는 “경제 문제가 아니라 고도의 정책적 협상 사안”이라며 “심리적 안정 효과가 크고 다변화가 가능하다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는 “가상자산과는 전혀 다른 민간 화폐 창출 기능이 있다”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도입되면 외화 관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디지털화 흐름은 거스를 수 없다”며 “은행 중심으로 단계적이고 신중하게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황 위원은 “한은은 정부의 재정·거시건전성과 연계해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다만 정책 조율 과정에서도 통화정책의 독립성은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