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3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강화되는 건설안전, 건설사업관리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전동훈 기자. |
[대한경제=전동훈 기자] 최근 정부의 안전규제 강화 기조에 따라 건설사업관리(CM)사업자의 역할이 커지는 가운데 업계가 직면한 법률적 리스크를 진단하고, 안전관리 대응방안을 교류하기 위한 장이 마련돼 주목된다.
한국CM협회는 23일 건설회관 3층 대회의실에서 ‘강화되는 건설안전, 건설사업관리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첫 주제발표에 나선 정유철 변호사(법무법인 율촌)는 CM 컴플라이언스의 필요성, 건설안전특별법 제정 추진 현황 등을 설명하며 포문을 열었다.
정 변호사는 “특별법은 CM사에도 안전관리 의무를 부과해 법적리스크가 한층 커질 것”이라며 “CM업무를 포함한 계약관계 전반의 위험요소를 면밀히 점검하고 시공사와 별개로 독립적인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이충호 삼성물산 건설안전연구소장은 자사 안전관리체계 구축 과정와 운영사례를 공유했다. 이 소장은 ‘기본을 준수하지 않는 협력사와 근로자에 단호하게 대응한다’는 삼성물산의 안전철학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유정호 광운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건설안전 확보를 위한 CM인의 역할에 대한 발표를 이어갔다. 유 교수는 건설현장 안전문화 향상을 위한 핵심 역량으로 △리더십 △의사소통 △지식 및 동기 등을 강조했다.
전문가 패널 토론에는 조훈희 고려대 교수를 좌장으로 최영호 리스크제로 대표, 박정일 한국토지주택공사 하남사업본부장, 이종수 아이티엠건축사사무소 사장, 정인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본부장, 정재욱 서울과기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안전관리체계 구축ㆍ운영 사례와 CM의 법적리스크 진단 및 대응방안을 공유해 안전문화를 정착해 나가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한국CM협회는 “앞으로도 CM사 간 교류의 장을 확대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동훈 기자 jd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