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금융투자협회 내 자본시장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이 주식시장 할인율 국제 비교와 코리아 프리미엄 과제를 주제로 2025년 제4차 KCMI 이슈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
[대한경제=김관주 기자]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높은 수준의 자본비용과 할인율이 형성돼 있습니다. 이러한 고(高)할인율 구조는 기업의 투자 활동과 자본시장 내 주가 형성에 분명히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겁니다. 이런 부분이 해소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저평가가 지속되겠죠.”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금융투자협회 내 자본시장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2025년 제4차 KCMI 이슈브리핑’에서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이같이 말했다. 이날 김 연구위원은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과 함께 ‘주식시장 할인율 국제 비교와 코리아 프리미엄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이 2006~2024년 전 세계 59개국 자료를 기반으로 국가별 주식시장에 내재된 요구수익률을 정량적으로 측정 분석 결과, 한국 주식시장의 할인율은 평균 11.5%로 선진국(8.9%)과 신흥국(10.9%) 평균 대비 높은 수준에서 형성돼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 내재가치 산출의 핵심 변수인 할인율은 투자자 관점에서 기대수익률이다. 기업 관점에서는 자기자본의 조달 비용이 된다.
자본시장연구원 측은 이러한 높은 할인율의 배경에는 기업의 낮은 자본효율성과 수익성, 제도적 신뢰 기반의 취약성, 단기성과 중심의 투자자 행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했다. 김 연구위원은 “중요한 것은 기업의 재무적 요인”이라며 “기업이 주주환원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했느냐(배당성향), 글로벌 회사 대비 얼마나 경쟁력을 갖추고 있느냐(마진율), 미래를 위해 얼마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느냐(연구개발·R&D) 등을 봤을 때 한국은 다른 나라 주가 대비 이러한 지표가 과거 20년간 평균적으로 되게 낮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한국 상장기업의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 해소에 이어 코리아 프리미엄으로의 전환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높은 요구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한 기업 차원의 전략적 대응을 꼽았다. 아울러 자본비용 자체를 낮추기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영진의 자본비용에 대한 합리적 인식과 이를 반영한 전략적 대응과 함께 정책당국의 일관된 지원과 투자자의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관여가 유기적인 선순환 구조를 이루어내야 한다고 봤다.
김관주 기자 punc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