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인 상 신설로 자긍심 ‘1YES’
의대 쏠림 완화ㆍ첨단 인재 확보
![]() |
사진: 서울시 제공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서울시가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를 선언했다. 의대 쏠림으로 흔들리는 과학ㆍ공학 인재 공급 구조를 반도체ㆍAIㆍ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연구ㆍ주거ㆍ교육 환경을 포괄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5일 오후 고려대학교 미래융합기술관에서 열린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이 같은 정책 방향을 밝혔다.
이날 오 시장은 이공계 인재가 학비ㆍ연구비ㆍ주거비 부담 없이 도전하고 사회적 인정 속에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3NO 1YES’ 비전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경제적인 이유만으로 연구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이공계 미래동행 장학금’을 신설한다. 기존 석ㆍ박사 과정 중심 지원을 박사 후 과정까지 넓히고, 연 지원 금액을 △석사 2000만원 △박사 4000만원 △박사 후 과정 6000만원으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서울 라이즈 텐(RISE 10) 챌린지’ 추진을 통해 최장 10년간 안정적 연구비를 지원, 단기 성과 압박에서 벗어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적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이공계 인재 성장주택’도 조성해 주거 부담을 완화하고 연구ㆍ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 과학인의 상’도 신설해 우수 연구 성과를 낸 과학기술인을 시상하고, 국제학술대회·CES 등 세계 무대 진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한편, 서울시는 과학기술 인재 성장을 위해 2022년 ‘대학 도시계획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자연경관지구 내 높이 제한 완화 △혁신성장시설 도입 시 용적률 완화 등 규제를 개선해 대학 연구ㆍ교육 공간을 확충했다.
청년취업사관학교와 캠퍼스타운 등을 통해 AIㆍ바이오ㆍ핀테크ㆍ양자 등 첨단 분야에서 2021년부터 올해까지 2만여 명 인재를 양성했으며, 서울을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세계 8위로 끌어올렸다.
오 시장은 “이제는 인재가 떠나지 않고 서울에 머물며 연구하고 창업하며 존중받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서울시가 이공계의 새로운 전성기를 여는 마중물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