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영풍 석포제련소./사진: 영풍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과 강원 태백시 주민 500여명이 25일 오후 2시 봉화군 석포면 만촌마트 앞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계획에 반대하는 대규모 주민결의대회를 열었다.
석포면현안대책위원회, 주민생존권사수봉화군협의회, 태백시현안대책위원회가 주최한 이번 집회에서 주민들은 “이전은 곧 폐쇄이며 주민 생존권을 짓밟는 폭거”라며 반발했다.
주민들은 1970년 설립 이후 50여 년간 석포제련소가 봉화와 태백, 석포 주민의 삶을 지탱해 온 터전이라고 강조했다. 제련소가 사라지면 지역 공동체와 경제가 함께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도 전달했다.
환경 문제와 관련해서는 “무방류 시스템, 저황산화 방지시설, 대기·수질 개선 설비 등 수십 차례에 걸쳐 환경 투자가 이뤄져 왔다”며 “지금 시점의 이전·폐쇄 추진은 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 판단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에 따른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투쟁선언문을 통해 5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재산권과 생존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한 강력 대응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ㆍ폐쇄 계획 즉각 철회 △경북도 TF팀 즉각 해체와 이철우 도지사의 명확한 입장 표명 △영풍의 행정명령 이행과정 공개와 이전ㆍ폐쇄에 대한 명확한 입장 문서화 △환경부와 국회의 피해 보상과 대책 마련 등이다.
주민들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주민 의견을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이전ㆍ폐쇄 논의를 진행한다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강력히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석포제련소는 1970년 설립 이래 반세기 넘게 봉화군과 태백시를 비롯한 경북 북부 지역의 고용과 경제를 지탱해 왔다”며 “최근 수년간 매년 1000억원 안팎의 환경투자를 지속하여 대기, 수질, 토양 전반에 걸친 개선을 이뤄왔다”고 주장했다.
한편 경북도는 현재 석포제련소 이전을 위한 TF팀을 구성해 이전지 타당성 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을 진행 중이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