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지지부진한 석화 구조조정…업체별 위험도 격차 ‘뚜렷’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9-25 16:47:50   폰트크기 변경      

올레핀 계열 비중 높은 대한유화ㆍ여천NCCㆍ롯데케미칼 고위험군

SK어드밴스드ㆍ효성화학은 제품 익스포저 높아


[대한경제=김희용 기자] 석유화학업계의 구조조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정부가 나프타분해시설(NCC) 270만~370만톤 감축 목표를 제시했지만 산업단지 내 통합 합의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개별 기업의 익스포저 관리가 신용도를 좌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는 25일 ‘구조조정의 문턱에 선 석유화학산업, 공급과잉 시대의 생존전략은?’ 웹캐스트를 통해 업체별 위험 노출도를 분석하며 생존 전략을 제시했다.

이날 김호섭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은 PE, PP 등 범용 제품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여전히 높다”며 “중국 시장 수출을 늘리며 생산능력 확대를 지속해왔지만, 중국 자급률 상승 이후 이익 창출력이 약화되면서 본격적인 구조조정의 필요성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한신평은 과거 호황기(2017~2018년) 수준의 가동률 회복을 위해 국내 전체 생산능력의 약 18%에 해당하는 1700만톤, 에틸렌 기준으로는 약 241만톤 규모의 설비 축소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가동률 개선을 위한 최소한의 물량으로, 보다 근본적인 업황 대응력 강화를 위해서는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제품별로는 파라자일렌(PX) 389만5000톤(36.1% 감축), 에틸렌글리콜(EG) 105만2000톤(67.9% 감축), 부타디엔 86만4000톤(39.4% 감축)이 제시됐다. 폴리프로필렌(PP)과 LDPE도 각각 24% 수준의 구조적 축소가 요구된다.

한신평은 NCC의 외부 매각이 어려운 만큼, 산업단지 내 설비 통합이 가장 이상적인 구조조정 방안이라고 꼽았다.

다만, 설비 가치 평가ㆍ지분 구성ㆍ50대 50 합작사 거버넌스 등 선결 과제가 많아 합의가 도출되기 위해선 상당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위원은 “자율협약 감축 최대 물량 370만톤을 정유업체들은 제외하고 생산능력 기준으로 단순 배분할 경우 순수 석유화학 업체들의 설비 축소 비율은 18%에서 25%가 아닌 24%에서 33% 수준으로 더 늘어나게 된다”며 “장기간 손실로 설비 가치 자체가 매우 낮아진 상황으로써 매수, 매도자 간 가격 협의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신평은 불황기(2019~2025년 상반기) 가동률 하락 폭이 호황기 대비 10%포인트 이상 크고 2025년 상반기 절대 가동률이 85% 미만인 제품을 ‘조정 대상 제품’으로 분류해 업체별 익스포저를 산출했다.

특히, 올레핀 계열 비중이 높은 NCC 업체들의 설비 축소 필요성이 가장 크다고 진단했다.

자료 : 한국신용평가 제공


김 연구위원은 “공급과잉 정도가 심한 범용성 올레핀 제품이 주력인 대한유화, 여천NCC, 롯데케미칼의 익스포저가 높게 산출돼 설비 축소의 필요성이 큰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대한유화는 울산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설비와 인접해 있고 생산 품목도 대부분 중복되고, 여천NCC는 JV 형태로서 기초유분만 생산해 자체적인 포트폴리오 전환이 어렵기 때문에 설비 감축이나 통합의 필요성이 더욱 높다는 지적이다.

SK어드밴스드와 효성화학은 조정 대상 제품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약 92%로 NCC 업체들보다도 더 높게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어드밴스드는 프로필렌 단일 제품을, 효성화학은 폴리프로필렌 범용 제품군을 주력으로 생산하므로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미흡하고 재무구조도 열위한 상황”이라며 “프로필렌 계열 제품이 동일 울산 산단 내 위치한 에쓰-오일 샤힌프로젝트 생산 품목과도 중복될 것으로 보이므로 이들 양사는 업계의 구조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과 더불어 자체 설비 감축, 효율성 향상 등을 통해 손실 축소에 주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신평은 구조조정 지연 시 신용등급 하향 압력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연구위원은 “업체별 구조조정 필요성과 익스포저가 전반적으로 높아진 상황에서 구조조정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한다면 산업 전반에 영업손실 기조 탈피가 쉽지 않아 보인다”며 “이러한 손실 기조가 지속된다면 자금조달 환경도 저하되면서 업체별 유동성 대응 부담도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김희용 기자
hyo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