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대통령실 제공]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우리 정부 인사들이 유엔총회 계기 미국 뉴욕 순방 일정 중에도 미국 측과 접촉하며 관세 협상을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을 만나 관세 협상 후속 논의에서 양국의 ‘상업적 합리성’에 기반한 결과 도출을 요청하고, 한미 통화스와프 등 구체적인 의제들을 직접 언급하며 난항 타개를 위한 모멘텀 마련에 나섰다.
이 대통령은 이날 뉴욕에서 베센트를 만나 “안보뿐 아니라 경제 측면에서도 양국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한미 동맹을 유지하고 발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면서, 안보 측면에서는 양국 간 협력이 잘 진행되고 있지만 통상 분야에서도 좋은 협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등 사안들과 관련해 “상업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국과 미국 양국의 이익이 부합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전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장 큰 쟁점으로 떠오른 한미 통화스와프에 대해 미국과 우선 합의에 이른 일본과 한국은 경제 규모나 외환시장 인프라 등에서 차이가 크다고 지적하며 “이런 측면을 고려해 협상이 잘 이뤄지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베센트는 이에 “한미동맹은 굳건하며, 일시적이고 단기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충분히 극복이 가능하다”며 “미국이 핵심 분야로 강조하는 조선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 협력이 매우 중요하며 적극적인 지원에 감사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현지 브리핑에서 정부의 이전 논의 등 과정을 통해 베센트도 통화스와프 문제에 대해 숙지를 하고 있었고, 이 대통령이 직접 이러한 ‘포인트’(체결 필요성)를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어 “베센트 장관은 충분히 경청했다며 관련 부처와의 논의를 약속했다”며 “이 대통령이 그 포인트를 상세히 설명했다는 점에서 오늘 접견은 이후 협상에 있어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자리에 배석했던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베센트와 별도 면담을 가졌다. 기재부에 따르면 양국 장관은 이 자리에서 대미 투자 패키지, 환율 협상 등을 이어갔다.
양국은 지난 관세협상에서 합의한 대미 펀드의 자금 조달과 투자 방식 등 구체적인 내용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후속 논의에 난항을 겪고 있다. 우리 정부는 미국의 요구대로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투자할 경우 외환시장에 큰 충격이 올 것이라며 무제한 통화스와프 체결을 핵심 요구사항으로 내밀었다.
김 실장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에 미칠 충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 그 문제가 해결 안 되면 그 다음으로 나아갈 수 없는 필요조건”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협상 시한 때문에 우리가 그런 원칙을 희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참석하는 10월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후를 중대 국면으로 설정했다.
김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할 것이고, 양국 정상간 당연히 미팅이나 면담이 있을 것”이라며 “협상팀에겐 그러한 국제행사가 중요한 계기다. 그것도 염두에 두면서 협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이날 미국이 추진 중인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송유관 건설 사업 관련, 한국ㆍ일본 여러 기업들과 참여 여부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알래스카에 남북을 관통하는 807마일(약 1297㎞) 구간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액화 터미널 등 인프라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초기 추산 자본은 약 450억 달러(약 64조원)로 예측된다.
라이트 장관은 자본 조달 방식에 대해 “미국 기업과 아시아 기업이 혼합된 형태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미국 에너지부가 신용 지원 등으로 일부를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