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간접 방식 투자 거론
PF 주선기관 확대 논의도
![]() |
| GTX-C 개요./자료:국토교통부 |
[대한경제=권해석 기자]공사비 부족 문제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있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 노선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조달에서도 가시밭길이 이어지고 있다. 민간투자사업의 초기 지분투자를 위해 조성된 출자전용 특별인프라펀드의 신규 투자가 올해로 종료될 가능성이 있어 재무적투자자(FI) 구성을 두고 경우의 수가 복잡해지는 모습이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특별인프라펀드 운용사인 산은인프라자산운용은 펀드 출자기관과 함께 특별인프라펀드의 재간접투자 방식을 논의하고 있다.
올해 2월 2000억원 규모로 출범한 특별인프라펀드는 사실상 올해 말까지 신규투자가 가능할 전망이다. 신용보증기금이 정부 예산을 받아 출자한 1000억원에 대해 연내 집행이 안 되면 불용처리하고 다시 국고로 반납해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2025년 7월29일자 8면 참조>
이 때문에 연내 소진하지 못한 특별인프라펀드 자금을 다른 펀드에 투자하고, 특별인프라펀드의 투자를 받은 펀드가 내년 이후에 신규 민자사업에 투자하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런 방식이 검토되는 이유로 GTX-C를 꼽고 있다. 특별인프라펀드가 출범 당시부터 GTX-C 투자를 염두에 뒀는데, 자칫 올해 안에 투자 절차를 마무리하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GTX-C 노선의 사업시행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건설원가 급등을 이유로 ‘물가 특례’ 적용을 통한 총사업비 증액을 요구하고 있는데, 기획재정부가 난색을 보이고 있다.
물가 특례는 수익형 민자사업(BTO)에 대해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오른 공사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조치로, 작년 10월3일까지 실시협약 체결 전인 사업장이 대상이다. GTX-C는 2023년 8월에 실시협약이 체결된 탓에 대상에 제외됐다.
총 사업비 문제가 풀리지 않으면서 3조4000억원 규모의 PF 조달 실타래도 꼬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GTX-C의 PF 조달이 내년으로 넘어가면 특별인프라펀드의 투자를 받지 못할 수 있다”면서 “펀드가 출범할 때는 올해 안에 투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상황이 어려워지면서 다른 방안을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특별인프라펀드의 재간접투자는 어려움을 겪는 민자사업에 직접 투자한다는 펀드 조성 취지를 고려할 때 현실성이 높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 정부 내에서도 부정적인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정부의 지침이 있어야 되는 문제”라며 “현재로는 어려워 보이는데, 정부가 마련 중인 민간투자활성화 대책에 관련 제도 개선이 포함되면 길이 보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특별인프라펀드의 GTX-C 투자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PF 금융주선기관을 확대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특별인프라펀드는 전체 지분투자액의 3분의1까지 투자할 수 있다. GTX-C의 지분투자 규모가 4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어 특별인프라펀드로부터 약 1000억원 가량의 투자를 받을 수 있다. 펀드 투자가 무산되는 상황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수 있다.
현재 GTX-C는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교보생명이 PF 주선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일부 시중은행을 추가하는 방안이 거론 중이다. 지분투자가 가능한 기관을 최대한 확보하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주선기관 참여가 거론되는 금융기관 관계자는 “GTX-C 주선기관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권해석 기자 haeseok@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