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안부 차관)이 29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공용브리핑실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 : 연합 제공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이후 첫 평일인 29일, 각종 행정정보시스템이 여전히 정상화되지 못하면서 정부 부처와 민원 현장에 큰 혼선이 빚어졌다. 온라인으로 증명서를 발급받지 못한 시민들이 시ㆍ군ㆍ구청과 주민센터를 직접 찾으면서 현장 민원 창구는 아침부터 혼잡을 빚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기준 전체 647개 행정정보시스템 가운데 정부24, 주민등록시스템,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 62개가 복구됐다. 이 중 최우선 관리 대상인 1등급 시스템 36개 가운데 16개(44.4%)가 정상화됐다. 그러나 화재로 전산실이 전소된 96개 핵심 시스템은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센터로 옮겨야 하며, 자원 준비 2주·시스템 구축 2주 등 총 4주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날 행안부는 입주 기업 협조를 통해 기간 단축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국민 불편은 곳곳에서 이어졌다. 국토교통부의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등 4개 서비스가 먹통이 되면서 토지대장과 인감 발급 등 20여 종의 민원은 오프라인으로만 처리됐다. 서울신용보증재단은 대출보증과 ‘안심통장’ 업무가 전면 중단돼 자영업자들이 자금 수혈에 어려움을 겪었다. 우체국은 금융서비스는 정상화했지만, 신선식품 배송과 일부 소포는 접수가 불가능했다.
정부는 장기간 장애가 예상되는 시스템에 대해 대체 수단을 마련했다. 국민신문고, 보훈 민원은 방문·우편 접수로 전환했고, 국가법령정보센터는 대체 사이트를 안내했다. 또 재산세 납부 기한 등 각종 세금과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했으며, 오프라인 서류 발급 수수료도 면제했다.
이번 화재는 지난 26일 UPS용 리튬이온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던 중 발화하면서 시작됐다. 배터리 384개와 서버 740대가 불에 타며, 불길은 27일 저녁에서야 잡혔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국민 불편을 끼쳐드려 거듭 죄송하다”며 “대체 수단을 확보하고 피해 시스템 복구를 서둘러 안정화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박호수기자lake806@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