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사진=카카오뱅크 제공.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인공지능(AI)은 더 이상 미래 기술이 아닌 이미 우리 곁에 들어와 있는 현실”이라며 “각 산업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윤 대표는 29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서울 핀테크 위크 2025’ 기조연설에서 “우리나라는 모바일 시대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했지만 이제는 AI라는 새로운 기술 환경 속에서 또 다른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검색, 게임, 메신저, 커머스 등 네 가지 IT 산업을 글로벌 플레이어로부터 지켜낸 유일한 나라”라며 “그 배경에는 디지털 인프라 수준과 국민들의 디지털 사용 능력, 그리고 사회적 환경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모델 자체에 대해서는 “이미 미국과 중국에 뒤처져 있고 글로벌 1·2위 경쟁에서 기회를 놓쳤다”면서도 “금융 데이터는 글로벌 빅테크가 접근할 수 없는 영역으로 국내 금융기관들이 고객 동의를 바탕으로 축적해온 데이터는 우리만의 강점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윤 대표는 카카오뱅크 사례도 언급했다.
그는 “카카오뱅크는 고객 동의하에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용평가 모델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동시에 AI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스미싱 문자 확인 기능과 대화형 금융 상담, 금융 계산기 등은 이미 많은 고객들이 직접 체감하는 성과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윤 대표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도 “글로벌 결제망은 비자와 마스터가 장악하고 있는데, 국내 카드사가 없었다면 국내 결제 시장도 이들에 지배당했을 것”이라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국민들의 디지털 수용도가 높아 국내 시장 보호뿐 아니라 해외 송금과 결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세계 2위 규모의 가상자산 거래 시장을 갖고 있고, 관련 기술도 상당히 축적돼 있다”며 “이 강점을 활용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확산한다면 IT 4대 산업을 지켜낸 것처럼 새로운 금융 산업도 키워낼 수 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윤 대표는 “미국에서도 자율주행차가 일부 지역에서만 허용된 것처럼 우리도 지자체 차원에서 과감히 첨단 기술을 실험할 필요가 있다”며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고 AI 활용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가는 동시에 테스트베드를 적극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