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대통령실 제공]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과 만찬을 갖는다. 사의를 표명한 이시바 총리의 ‘고별’ 외교 무대인 이번 회담에서 한일 정상은 셔틀외교 정착, 공통 문제 협력 등의 문서ㆍ제도화를 통해 양국간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 의지을 공고히 다질 전망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 8월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에 대한 답방”이라며 “한 달 만에 두 정상의 만남이 다시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일 간 셔틀외교가 복원ㆍ정착됐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회담에선 향후 지속 논의ㆍ대응하기로 했던 양국 공통 문제와 인공지능(AI), 수소에너지 등 미래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긴밀한 대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지난달 23일 정상회담에서 △저출산 △고령화 △수도권 집중 △농업 △재난 안전 등 양국이 직면한 공통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협의체를 출범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밖에도 △조속한 한일 차관 전략대화 개최 △워킹홀리데이 비자 제도 확충 △수소ㆍ암모니아ㆍAI 등 협력 확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한미일 삼국 긴밀 공조 △경주 APECㆍ한일중 정상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협력 등 합의 사항을 담은 성명을 채택했다.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공동 문서를 도출한 것은 17년 만이다.
이번 회담이 이례적으로 서울이 아닌 부산에서 열리는 것도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양국 지역 간 교류 활성화를 실현하기 위한 의지를 재확인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일본 정상이 한국 방문을 위해 서울 이외의 도시를 찾은 것은 2004년 이후 21년 만이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지난 8월 정상회담 당시 이시바 총리에게 방한할 경우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 만나자고 제안한 바 있다.
교착 상태에 빠진 대미 관세 협상 등 ‘동병상련’ 처지에 처한 양국의 협상 경과 공유와 한미일 공조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위 실장은 대미 관세 문제가 공식 의제에는 포함되지 않았다면서도 “일본이 우리보다 앞서가고, 우리가 뒤에 가고 있기에 일본의 경험이나 생각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정학적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는 게 적절한지 (양 정상이) 지혜를 모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격변하는 무역질서 속에 유사한 입장을 가진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양국이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고려해 이시바 총리의 방한은 실무 방문이지만, 환영행사나 회담장 등에서 그 이상의 환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세심하게 준비했다”고 덧붙였다.
위 실장은 또 “이시바 총리는 비록 떠나는 입장이지만 한국에 와서 정상회담을 하고 싶다는 입장을 표했고 우리가 기꺼이 수용해 회담이 성사됐다”며 “정부나 정치 지도자(교체)에 관련 없이 계속 긴밀해지고 발전하는 한일관계의 미래에 대해 양국 지도자가 의견을 같이하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다음달 4일 일본의 새 총리가 될 집권 자민당의 새 총재가 선출되고, 이후 국회의 의결 절차가 끝나는대로 총리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위 실장은 “이시바 총리가 퇴임한 후에도 일본 정계의 중진의원으로 계속해서 한일 관계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는 회담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