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동ㆍ식유촌 주민과 1일 성명발표 후 순례기도회 개최
지난해 11월 그린벨트(GB) 해제지역으로 지정된 서리풀 2지구의 주민과 천주교의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천주교 서울대교구 12지구(서초구)의 11개 본당 및 수도회(반포, 반포1동, 반포4동, 방배동, 방배4동, 고속터미널, 서초동, 서초3동, 양재2동, 우면동, 잠원동, 그리스도의 레지오수도회)의 주임신부 등 26명과 신자 9372명은 “10월 1일 서리풀 2지구의 우면동 성당과 송동 마을, 식유촌을 강제 수용해 고밀도 개발을 추진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서리풀 2지구에는 우면동성당이 자리잡고 있다. 
![]()  | 
| 우면동성당 전경. | 
성명발표에 이어 성당 신자와 송동, 식유촌 마을 주민들과 1일 오후 2시에 개최될 LH의 ‘환경영향평가 설명회’가 열리는 서초종합체육관까지 반대 의사 표명을 위한 ‘순례 기도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천주교 측은 특히 성명서를 통해 △신자 4,000명의 우면동 성당을 강제 수용하는 계획은 헌법상 종교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점 △송동 마을·식유촌은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풍부한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점 △기본권 침해와 정책의 효과 및 일관성 부족 △환경 보호 및 주민의 거주 환경 훼손 우려 등을 밝힐 예정이다.
우면동 성당의 ‘백운철 스테파노 주임신부’ 등은 “수용 대상이 된 우면동 성당은 물론 송동 마을·식유촌은 문화적 가치를 가진 신앙과 삶의 터전”이라며 “올 3월 7일 서울시 의회는 ‘주민 의사 청취 미흡, 재산권 침해 가능성, 전통 훼손 우려, 그리고 강제 수용은 주거권 보호와 배치된다’는 이유로 전체 의원 70명 중 69명이 취락지구 존치 청원을 가결한 바 있다”고 밝혔다.
또한 “12지구의 11개 성당은 미래 세대에게 삶의 공간을 제공하겠다는 개발 계획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선한 의지’의 구현이 종교 공동체와 주민들의 소중한 집을 파괴하는 폭력적인 방식이어서는 곤란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천주교 측은 또 “추진 과정은 어디까지나 헌법상 원칙인 종교의 자유, 자연 환경 보존, 주민들의 기본권 보장의 바탕 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성당 신자들과 주민들의 의사를 전면적으로 반영해 서리풀 2지구가 오랫동안 거주했던 이들과 새로운 세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공간으로 탈바꿈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12지구는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의 신속한 공식 답변을 요청하며, ‘성당과 마을의 존치’라는 합리적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향후 이 사안에 공감하는 ‘환경단체, 문화 단체, 시민 단체’와 연대해 일방적인 강제 수용 방침이 철회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11월 공공주택 공급계획을 발표하면서 서울 서초구 우면동 일원 19만3259㎡ 규모의 서리풀2지구에 GB를 해제하고 오는 2035년까지 2000여가구의 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박노일 기자 royal@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