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복기왕 의원실 제공 |
[대한경제=김광호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전국에서 조성 중인 16개 국가산업단지 가운데 일부는 준공을 앞두고 있지만, 일부는 착공도 못하는 등 지역 편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LH로부터 제출받은 ‘국가산업단지 현황(2025년 9월 기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6개 국가산단 중 10개 단지가 공정률이 43∼100%, 분양률은 1∼84%로 지역간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세종ㆍ충주ㆍ논산ㆍ나주ㆍ오송ㆍ용인 등 6개 국가산업단지는 보상ㆍ인허가 등 단계에 머물러 있어 본격적인 착공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먼저 대구 국가산단(분양률 84%)은 2026년 12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올해 준공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는 곳으로는 광주 빛그린 77%, 밀양 나노융합 42%, 진주 우주항공 22%, 사천 우주항공 국가산단이 26%의 분양률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울산ㆍ미포 국가산단(분양률 79%)은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과 장항 국가생태산단은 분양률이 각각 69%, 53%로 2단계 공정이 한창이다. 그러나 동두천과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은 분양률이 각각 2%, 1%로 심각한 분양 부진 상태에 놓여 있다.
이와함께 세종 스마트, 충주 바이오헬스, 논산 국방, 나주 에너지, 오송 제3생명,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아직 보상ㆍ인허가 등 절차에 머물러있어 기업 입주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차질이 우려된다.
복 의원은 “국가산업단지가 지역균형발전과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별 추진 속도 차이와 분양 부진이 여전히 심각한 과제로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동두천 국가산단과 전주탄소소재 국가산단처럼 분양률이 1∼2%에 불과한 경우에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기업 유치 지원과 투자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며 “신규 지정 국가산단은 초기 절차 지연이 장기화될 경우 사업성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행정 지원과 제도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광호 기자 kkangho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