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승윤 기자] 사상 초유의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국정자원 관계자와 작업자 등을 상대로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 |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서비스 복구작업에 나선 가운데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 연합뉴스 |
대전경찰청은 국정자원 현장 관리자 1명과 배터리 이전 공사 작업자 2명, 작업 감리업체 관계자 1명 등 모두 4명을 업무상실화 혐의로 입건했다고 1일 밝혔다.
화재는 지난달 26일 국정자원 5층 전산실 안에 있던 무정전전원장치(UPS) 리튬이온 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해 지하로 이전하는 작업을 하던 중 배터리 폭발로 발생했다.
앞서 경찰은 전날까지 공사 작업자 등 12명을 대상으로 참고인 조사를 마친 뒤 이 중 3명을 입건했다. 함께 입건된 국정자원 관계자 1명은 현장 관리 인력으로, 안전관리감독자는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복구 상황과도 맞물려 국정자원 측 참고인 조사에 어려움이 있다”며 “공사 관계자 진술과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혐의가 있다고 판단된 4명을 입건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CCTV 영상과 국정자원으로부터 임의 제출받은 작업 관련 자료를 분석하는 한편, 전원을 차단한 뒤 배터리 방전이 이뤄진 상태로 작업이 진행됐는지 여부도 살피고 있다.
당시 작업은 UPS 주전원을 차단한 상태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는데, 경찰은 잔류 전력이 남아있었다면 화재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 중이다.
최초 발화된 것으로 추정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6개는 현재 모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옮겨진 상태다. 이 중 1개에서는 잔류전류가 감지돼 국과수에서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정밀 감식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찰은 배터리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UPS 제조사 관계자 등 전문가들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멈춰선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이날 오전 10시까지 복구된 시스템은 99개로, 약 15% 수준이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