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2030년까지 해상풍력 14GW 확충…관건은 경제성 개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10-02 06:20:36   폰트크기 변경      
오션에너지패스웨이, 녹색전환연구소 국회 토론회 개최

재생E 발전 목표치 제시됐으나…국내 가동 설비 0.3GW 불과

정부 경쟁입찰 통해 4GW 선정…PF는 지지부진

관건은 가격…韓 해상풍력 발전비용 영국의 2배
“3∼4GW 신속 보급 통해 공급망 형성하고, 규모의 경제 이뤄야”


제주 한림읍 인근 해상에 설치된 100㎿ 규모 해상풍력발전 단지./두산에너빌리티 제공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정부가 계획한 재생에너지 발전 및 해상풍력 보급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선 발전사업의 경제성이 빠르게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를 위해 300㎿ 수준인 국내 해상풍력 가동설비를 3∼4GW까지 선제적으로 건설하고, 공급망 구축 및 규모의 경제를 이뤄 발전단가를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는 제언이다.

국제 비영리단체 오션에너지패스웨이(OEP)와 녹색전환연구소는 1일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고 해상풍력을 확산시키기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

현재 국내에서 가동되는 해상풍력 발전기는 △제주 탐라해상(30㎿) △영광 해상(34.5㎿) △서남해 실증(60㎿) △제주 한림해상(100.1㎿) △전남 해상풍력1(96㎿) 등 320.6㎿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건설해야 할 해상풍력 발전기는14.3GW에 달한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5년 내 현재 가동 중인 설비의 40배 이상을 설치해야 하는데,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은 실정이다. 정부는 최근 2년 반 동안 풍력 경쟁입찰 사업을 통해 14개 프로젝트(약 4GW)를 선정했으나, 이마저도 착공에 들어간 사업은 1개 뿐이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사업비 조달을 위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도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장다울 OEP 한국대표는 “역대 정부에서 해상풍력 확충 계획을 제시해 왔지만, 성과는 미미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해상풍력 사업이 국민적 지지를 얻기 위해선 경제성을 개선해 전기요금에 의한 보조금을 줄이고, 전체 편익을 증대시켜야 한다”며 “이를 위해 경쟁입찰로 선정한 사업을 최우선순위로 보급해야 한다. 선제적으로 3∼4GW 규모의 발전소를 설치해 전체 비용을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장다울 OEP 한국대표가 1일 토론회에서 발제를 하고 있다./ 녹색전환연구소 제공


2023년 하반기 기준 한국의 해상풍력 균등화발전비용(LCOEㆍ전기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평균비용)는 317원/㎾h이다. 이는 중국(86원)ㆍ덴마크(121원)ㆍ영국(155원)은 물론이고 대만(249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국내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더딘 이유다.

높은 LCOE의 원인으로는 국내 공급망 부재와 복잡한 인허가로 인한 사업 지연,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경험의 부족 등이 꼽힌다.

해상풍력 산업은 크게 △단지 개발 △구매ㆍ제조 △설치ㆍ시공 △운영 등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주요 플레이어로는 △디벨로퍼 △풍력터빈 제조사 △타워ㆍ하부구조물ㆍ블레이드 등 부품 제조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 기기 설치를 위한 WTIV(설치선)ㆍHLV(대형크레인선)ㆍCTV(작업자 수송선) 등 선단 구성과 해상풍력 전용 배후항만도 필요한데 한국은 전체적인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심현보 KCG안좌쏠라시티 대표는 “발전사업허가, 해군ㆍ공군 작전성 협의,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 지자체 인허가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사업기간이 길어지고, 개발비용도 상승하고 있다”라며 “국내 밸류체인에서 산업 육성과 공급망 강화를 통해 LCOE를 낮출 수 있는 정책적 배려도 요구된다”고 말했다.

다만 마중물로 삼을 수 있는 발전단지가 구축되면 해상풍력 개발비용도 빠르게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다.

장다울 대표는 “어떤 산업이든 초기에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비용은 높을 수밖에 없다. 일단 3∼4GW 발전소를 건설해 규모의 경제를 이루고, 공급망 인프라를 갖추면 LCOE가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며 “개발 모델도 공기업 단독, 공기업과 국내외 민간기업 컨소시엄, 해외기업 단독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가장 빠르고 성공적인 모델을 발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도 포화 상태인 전력망 운영방식을 해상풍력 시대에 맞춰 다변화 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윤영 코펜하겐 에너지 아일랜드(CEI) 한국 대표는 “정부 목표대로 해상풍력을 확대하기 위해선 계통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호남 해안에는 생태보호구역과 군작전구역이 다수 분포돼 케이블을 포설할 해저 공간이 제한적”이라며 “하나의 솔루션은 해상 에너지 허브다. 자연섬에 설치된 집전설비를 구축해 인근 육지 변전소로 단일 케이블을 통해 송전하는 인프라 개념이다. 이를 통해 케이블의 수와 길이를 줄이고, 해상풍력의 LCOE를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공:CEI


한편, OEP와 녹색전환연구소는 전남 해상풍력의 경제ㆍ환경ㆍ사회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계획된 총 57개(18GW) 프로젝트가 추진되면 최대 44조원의 부가가치와 약 47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분석했다.

최기원 녹색전환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전남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고령화 수준과 지역소멸이 가속화되는 지역인데, 해상풍력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전기장비, 금속가공제품, 제조산업 등 비중이 커지고, 지역 내 산업 및 고용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기원 녹색전환연구소 경제전환팀장이 1일 토론회에서 발제를 하고 있다./ 녹색전환연구소 제공


신보훈 기자 bb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건설기술부
신보훈 기자
bba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