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날 국악명인전, 전통 성악 정수 선보여
둘째 날 무형유산축전, 청년 국악인 대거 출연
전석 무료 공연…사전 예약ㆍ초청으로 관람
|  | 
| 사진: 호수이영준문화재단 제공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서울 한복판 남산에 가을의 정취와 전통 가락이 어우러진다.
재단법인 호수이영준문화재단(이사장 이시은)이 주최하는 제3회 호수문화제가 오는 11일과 12일 이틀간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에서 막을 올린다.
이번 무대는 ‘국악명인전’과 ‘서울시무형유산축전’을 주제로 꾸며진다. 첫날에는 전통 성악의 정수를 보여주는 국악명인전이 펼쳐진다. 국가무형유산 가곡 보유자인 김경배와 김영기가 가곡을 노래하고, 종묘제례악 전승교육사 김병오가 십이가사를 선보인다. 또한 호수이영준문화재단 이사장 이시은이 석암제 시조를 불러 전통 성악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무대에는 서울시무형유산 석암제 시조 이수자와 호수정가합창단 50여 명이 함께해 전통과 미래세대의 만남을 상징하는 대규모 합창을 들려줄 예정이다.
서울예술대학교 명예교수 하주화, 국립국악원 수석단원 박경순, 정악단 단원들의 출연도 눈길을 끈다. 사회는 전 국립부산국악원 원장 서인화와 박준영 대표가 맡아 관객과의 호흡을 이끈다.
둘째 날 무대는 서울시 무형유산을 집중 조명한다. 석암제 시조를 비롯해 수궁가, 흥보가, 서울잡가 등 다양한 종목이 무대에 오른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성악반 학생들이 대거 참여해 독창과 합창으로 차세대 국악인의 면모를 보여주며, 서울의 무형유산을 시민에게 쉽고 친근하게 전달한다. 사회는 전 서울시무형유산위원회 위원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인 채수정이 맡는다.
호수문화제는 故 호수 이영준 선생의 뜻을 잇는 자리다. 서울시무형유산 석암제 시조를 기반으로, 유아와 청소년에게 문학적 감수성을 심어주고 전통 예술의 현대적 계승을 도모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시은 이사장은 “호수문화제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조상의 전통 문예를 아이들과 함께 나누며, ‘시조의 미래’를 준비하는 뜻깊은 무대”라며 “시조의 아름다움을 다시금 깨닫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공연은 전석 무료로 진행되며, 사전 예약 또는 초청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