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하이닉스 |
[대한경제=이계풍 기자] 인공지능(AI) 활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반도체 시장이 다시 호황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 이 흐름에 맞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차세대 기술 선점을 위해 대규모 인재 확보전에 돌입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전날부터 15일까지 경력직 채용 홈페이지 ‘10월 월간 하이닉스 탤런트’를 통해 경력사원 지원자를 모집하고 있다. 이번 모집은 HBM 회로 설계와 검증, 시스템 솔루션 설계 등 10여 개 직무를 대상으로 하며, 합격자는 이천과 분당 사업장에서 근무하게 된다. 회사는 이번 공채를 통해 두 자릿수 규모의 인원을 선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채용은 고성능 AI 서버와 자율주행차, 로봇 등 차세대 응용 분야에 맞춘 설계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메모리 반도체 단일 제품 경쟁에서 벗어나, 시스템 반도체와 결합된 맞춤형 솔루션 제공 능력이 핵심 경쟁력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경력직뿐 아니라 신입사원 채용도 대폭 확대하고 있다. 설계, 소자, 연구개발, 양산 기술 등 여러 직무에서 세 자릿수 규모의 신규 인력을 선발해 연구와 생산 역량을 동시에 끌어올릴 방침이다.
![]() |
삼성전자 |
삼성전자 역시 올해 하반기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달 25일 직무적성검사(GSAT)를 치른 뒤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확정한다. 합격자는 내년 상반기 입사해 각 부서에서 공정 개발이나 회로 설계 등 주요 업무를 담당할 예정이다.
이 같은 채용 확대는 ‘메모리 슈퍼사이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차세대 메모리 기술 확보 없이는 향후 성장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AI 서버와 모바일 D램 수요 증가로 범용 메모리 가격이 다시 움직이고 있다”며 2027년을 업황의 고점으로 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AI 반도체는 기술적 난도가 높아 인재 확보가 곧 경쟁력”이라며 “고객사 요구에 맞춘 제품 설계를 통해 차별화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계풍 기자 kp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