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V 기존 70%에서 40%로 강화시
대출한도 6억에서 5억대 감소 예상
성동ㆍ광진ㆍ마포는 영향 덜할 듯
[대한경제=황은우 기자] 정부가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ㆍ투기과열지구)을 한강벨트로 확대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40%로 강화되면, 현재 과열 양상인 성동ㆍ광진ㆍ마포구보다는 강동ㆍ동작구 등지의 대출액 감소가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추후 한강벨트 비규제지역이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면 유력 후보군 중 성동ㆍ광진ㆍ마포구는 대출액 변화가 없는 반면, 동작ㆍ강동ㆍ양천ㆍ영등포구는 종전보다 대출이 줄면서 자기자본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비규제지역은 LTV 70%가 적용되지만 수도권에서는 6ㆍ27 대출 규제로 인해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6억원까지만 받을 수 있다. 현재 평균 아파트값이 13억∼17억원인 성동ㆍ광진ㆍ마포ㆍ영등포ㆍ양천ㆍ강동ㆍ동작구 등 7개 한강벨트 지역도 실제 LTV와 상관없이 최대 6억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하다.
다만 정부가 한강벨트를 모두 규제지역으로 지정한다고 가정하면, 현재 집값 급등지역인 성동ㆍ광진ㆍ마포구는 LTV가 70%에서 40%로 강화돼도 LTV보다 낮은 6억원 한도를 계속 적용받아 규제 효과가 크지 않다는 게 부동산R114의 분석이다.
일례로 부동산R114 시세 기준 성동구의 아파트값은 평균 16억9225만원으로, LTV를 70% 적용했을 때(11억8458만원)나 40%로 강화됐을 때(6억7690만원)나 동일하게 6억원 한도에 걸린다. 평균 아파트값이 성동구 밑인 광진구와 마포구도, 규제지역에 지정되더라도 같은 이유로 6억원 한도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평균 아파트값이 15억원 미만인 영등포구와 양천구, 강동구, 동작구는 LTV가 40%로 줄어들면 종전에 6억원까지 받을 수 있던 대출이 5억원대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평균 시세가 13억천844만원인 동작구는 현재 70%의 LTV 한도(9억5000만원)에도 6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지만, 규제지역이 되면 LTV 한도 자체가 5억4388만원(40%)으로 떨어진다.
 
황은우 기자 tuser@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