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통신 “최강 핵전략무기체계”
핵보유 기정사실화…美 본토 타격 능력 과시
극초음속미사일ㆍ쿠르스크 파병 부대도 등장
김정은 연설에 직접적 對美위협은 빠져
주석단에 중ㆍ러ㆍ베트남 최고위 인사 나란히
![]() |
지난 10일 김일성광장에서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열병식이 성대히 거행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사진은 화성-20형으로 추정되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모습. / 사진=연합. |
[대한경제=전동훈 기자] 북한이 지난 10일 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노동당 창건 80주년을 맞아 개최한 열병식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을 공개했다.
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할 수 있는 전략무기를 내세워 핵 투발능력을 과시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1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전날 개최된 열병식 내용을 보도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강의 핵전략무기체계인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20’형 종대가 주로를 메우며 광장에 들어서자 관중들이 터치는 열광의 환호는 고조를 이루었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달 신형 고체연료 대출력 엔진의 생산 계획을 발표하며, 이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개발 공정의 마지막 시험 단계”라고 언급하며 지상분출 시험을 실시했는데, 이번 열병식에서 실제로 화성-20형을 처음 공개하며 구상을 현실화한 셈이다.
앞서 화성-20형은 추력을 늘려 다탄두 ICBM으로 개발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미국 본토 여러 곳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는 데다 요격이 어렵다는 점에서 대미 핵위협 수위를 더욱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상대의 미사일 방어망을 무력화할 수 있는 무기로 꼽히는 극초음속 미사일도 열병식에 등장했다.
![]() |
지난 10일 김일성광장에서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열병식에 참석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모습. / 사진=연합. |
조선중앙통신은 “국방력의 정수를 이루는 절대적 힘의 실체인 전략무기체계들이 지심을 울리며 광장에 진입했다”며 “극초음속활공미사일과 극초음속 중장거리 전략미사일 종대들이 진군해 갔다”고 전했다.
또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종대 △무인기발사차 종대 △지대공ㆍ지대지 미사일 종대 등이 “연이어 진군화폭을 펼쳤다”고 썼다.
자주포, 방사포 등 재래식 전력도 과시했다. 중앙통신은 “현대식주력땅크(탱크) ‘천마-20형’ 종대에 이어 우리 군대의 제1병종인 포병무력의 강세를 보여주는 155㎜ 자행평곡사포 종대가 멸적의 포신을 추켜들고 광장을 누벼나갔다”고 언급했다.
또 “적의 주요 목표들을 정밀타격하는 새세대 핵심 공격무기체계들과 세상에 유일무이한 주체조선의 첨단병기인 600㎜ 방사포 종대의 흐름”에 관중들이 박수갈채를 보냈다고 했다.
이날 열병종대 행진은 노광철 국방상이 선두에 섰으며, 미사일 전력을 총괄 운용하는 전략군과 특수작전군 등에 이어 해외작전부대가 등장했다.
외신 등에 공개된 열병식 영상에는 인공기와 러시아 국기를 함께 든 부대가 행진하는 모습이 나온다. 러시아 매체 RT는 “이들 병사들은 러시아 군대와 함께 쿠르스크에서 싸웠다”고 언급했는데 쿠르스크 파병 북한군 부대가 열병식에도 등장한 것으로 관측된다.
‘정찰정보총국 종대’도 행진했다고 언급됐다. 북한은 최근 군 총참모부 산하 대남·해외 정보 수집 및 공작 기구인 정찰총국을 ‘정찰정보총국’으로 확대 개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위원장은 열병식 연설에서 “우리 군대는 적을 압도하는 정치 사상적, 군사 기술적 우세로써 방위권에 접근하는 일체의 위협들을 소멸하는 무적의 실체로 계속 진화되여야 하며 도덕과 군기로 승리의 단상을 쌓아가는 정예의 무력으로 끊임없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당과 공화국 정부가 앞으로도 강위력한 혁명무력과 함께 부정의와 패권을 반대하고 정의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진보적 인류의 공동 투쟁에서 자기의 책임을 다할 것임을 확언하는 바”라고 밝혔다.
![]() |
지난 10일 김일성광장에서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열병식이 성대히 거행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1일 보도했다. / 사진=연합. |
하지만 그는 미국과 한국을 직접 위협하는 표현은 자제했다. 미국과 대화 재개를 둘러싼 장외 탐색전을 벌이는 가운데 다소 수위를 조절한 것이란 분석이다.
열병식 주석단 김 위원장 양옆으로는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사절로 방북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베트남 최고지도자인 또 럼 베트남공산당 서기장이 섰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 겸 통합러시아당 의장은 럼 서기장 왼쪽에 자리했다.
전동훈 기자 jd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