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코렌스, 정부 피지컬 AI 지원사업 선정…자율형 공장 구축 나서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10-13 10:41:20   폰트크기 변경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팩토리 전환…공정시간 60% 단축 목표

코렌스 생산라인에 적용된 디지털트윈 시스템 이미지./사진: 코렌스 제공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 코렌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피지컬 제조 AI 지원사업에 참여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2025년 ‘산업 특화형 피지컬 AI 핵심기술 PoC’ 사업의 일환으로, 물리정보신경망(PINN) 모델 개발과 제조 융합데이터 수집ㆍ실증을 목표로 한다.

코렌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한국형 피지컬 AI 기술을 도입해 자사 공장을 사람의 개입 없이도 스스로 판단하고 동작하는 AI 자율형 공장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기존 AI가 텍스트 생성이나 이미지 인식에 활용됐다면 피지컬 AI는 생산라인의 로봇과 센서, 사물인터넷을 연계해 실시간으로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설비를 자동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피지컬 AI 적용 시 공정 설정 시간 60% 단축, 불량률 50% 감소, 작업자 의존도 30% 이상 절감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이를 위해 코렌스는 생산ㆍ품질ㆍ에너지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레이크’를 구축했다. 센서 기록, IoT 로그, 영상 데이터 등을 그대로 저장해 AI가 학습하고 판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실제 공장을 가상 공간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도입해 설비 상태와 공정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고 있다. 특정 설비의 효율 저하가 감지되면 디지털 트윈으로 고장 시점을 예측하고 사전에 유지보수 방안을 마련하는 방식이다.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코렌스는 공장 내 주요 설비의 에너지 사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자동 제어하는 FEMS(설비 에너지 관리 시스템)도 도입했다. FEMS는 공장 전체부터 개별 설비까지 에너지 사용 패턴을 분석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며, 냉각수 순환 펌프 등의 회전수를 자동 조정해 불필요한 공회전을 줄인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연계해 전력 비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도 추구하고 있다.

코렌스는 EGR(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과 자동차 열관리 장치, 배출가스 저감 장치 등을 생산하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이다. 30여 년간 축적된 내연기관 기술을 바탕으로 전동화ㆍ친환경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코렌스이엠, 코렌스알티엑스, 케이퓨얼셀 등 계열사를 통해 전동화 부품과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등을 생산하고 있다.


코렌스 EGR 쿨러 생산라인./사진: 코렌스 제공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강주현 기자
kangju07@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