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연합 |
[대한경제=심화영 기자] 삼성전자가 치열해지는 반도체 인재 확보 경쟁 속에서 단기 성과와 중장기 성장 모두를 겨냥한 ‘이중 보상체계’에 나섰다. 초과이익성과급(OPI)에 더해 3년 뒤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자사주를 지급하는 성과연동 주식보상(PSUㆍ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를 새롭게 도입한 것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사내 공지를 통해 PSU 제도 도입을 공식화했다. 이는 단기 성과 중심의 기존 OPI를 보완해 임직원에게 중장기 성과 창출 동기를 부여하고, 우수 인재 확보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삼성전자가 새로 도입한 PSU는 향후 3년간 주가 상승률에 따라 자사주를 차등 지급하는 제도다. CL 1~2 직원(사원ㆍ대리급)에게는 200주, CL 3~4 직원(과장~부장급)에게는 300주를 이달 중 약정하고, 2028년부터 3년간 균등 분할 지급한다.
주가 상승 폭에 따른 지급 배수도 세분화됐다. 2025년 10월 15일 기준 주가 대비 △상승률 20% 미만 시 0배 △20~40% 미만 0.5배 △40~60% 미만 1배 △0~80% 미만 1.3배 △80~100% 미만 1.7배 △100% 이상 2배를 적용한다. 주가 산정은 1주일ㆍ1개월ㆍ2개월 거래량 가중평균가의 산술평균으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주가가 현재 9만3500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과장급(CL3)이 3년 뒤 주가가 13만900원 이상일 때 약정 300주를 전량 지급받는다. 이는 3927만원 규모이며, 주가가 2배 오를 경우 보상 규모도 최대 2배까지 불어난다.
이는 메타·구글·오픈AI 등 실리콘밸리 빅테크들이 인재 유치를 위해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기업 성장과 개인 성취가 연동되는 구조다. 삼성은 이를 통해 회사의 지속 성장성과 미래 경쟁력 확보, 임직원과의 ‘성장 동반’ 메시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은 PSU와 함께 기존 단기 성과보상제도인 OPI도 손본다. 내년부터 OPI의 일부를 임직원이 자율적으로 주식으로 받을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OPI 지급액의 0~50% 범위 내에서 10% 단위로 주식 보상 비중을 정할 수 있으며, 주식으로 받은 금액에 대해서는 1년 보유 조건 하에 15%를 추가로 얹어준다.
삼성은 올해 1월부터 임원에게 먼저 OPI 주식보상제를 적용해왔다. 이번 조치는 이를 일반 직원으로 확대 적용하는 것이다. 단기 성과는 OPI로, 중장기 성과는 PSU로 보상 구조를 이원화함으로써 조직 전체의 동기부여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의도다.
이번 보상체계 개편은 반도체 업계 전반에 번지고 있는 AI 인재 쟁탈전의 정면 대응 카드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임직원 1인당 평균 1억원 수준의 인센티브 지급을 예고하며 업계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삼성전자 내부에서도 인재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졌던 상황이다.
특히 HBM(고대역폭 메모리) 중심의 슈퍼사이클이 본격화하면서 반도체 설계·공정·AI 솔루션 인력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가 ‘통 큰 결단’을 내리고 보상체계를 선진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PSU 도입은 단순한 임금 인상과는 차원이 다르다”며 “삼성이 실리콘밸리식 성과보상 모델을 전 직원으로 확대한 것은 AI 시대 인재 확보를 위한 중장기 전략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인재 유치 이상의 효과를 노린다. 임직원의 보상이 회사 주가와 직접 연동되는 구조는 곧 주가 부양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래 실적 개선에 대한 내부 동기부여가 강해질수록, 주주가치 제고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회사의 지속 발전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임직원에게 중장기 성과 창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회사와 임직원이 함께 성장하기 위한 조치”라며 “주주가치 제고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화영 기자 doroth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