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미국 입항수수료 맞불로 한화오션 미국법인 5곳 제재
영향 ‘제한적’이지만 추가 제재 가능성 우려도
![]() |
|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지난 8월 미국 필라델피아시의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선박 명명식에서 이재명 대통령, 조쉬 샤피로(Josh Shapiro) 펜실베니아 주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환영사를 하고 있다. / 한화 제공 |
[대한경제=김희용 기자] 미국과 중국 간 통상 갈등의 유탄이 한국으로 튀었다. 중국이 자국산 선박에 부과된 미국의 입항 수수료에 대한 반격으로 미국에 조선소를 보유한 한화오션 등의 미국법인 5곳에 제재를 가하면서 한국은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는 상황을 맞게 됐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날 “미국이 중국에 대해 취한 해사ㆍ물류ㆍ조선업 무역법 301조 조사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한화오션 등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해 반격 조치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제재 대상 업체는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쉬핑홀딩스, 한화쉬핑, HS USA홀딩스 등 한화그룹 조선ㆍ해운 계열사의 미국법인 5곳이다. 이중 한화필리조선소는 한화오션이 미국에서 인수한 첫 현지 조선소로, 미국과 한국 간 조선 협력의 상징같이 여겨지는 곳이다.
제재 조치에 따라 중국 내 기업이나 개인은 이들 업체와 거래ㆍ협력 등 활동을 하는 것이 금지됐다.
조선업계는 이번 조치로 당장은 큰 피해가 없을 것이라고 여긴다. 중국이 한화필리조선소나 한화쉬핑에 발주한 사례가 아예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회사인 한화오션이 중국에 블록 건조 등 하청을 맡기는 경우가 있어 미국 법인을 넘어 본사나 국내 다른 조선업체로 제재가 확대될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화오션 측은 “중국 정부의 발표 내용을 인지했고 해당 조치가 당사에 미치는 사업적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제재는 미국이 이날부터 중국 운항 및 중국산 선박에 부과한 입항 수수료에 대한 맞대응이란 것이 조선업계의 시각이다.
앞서 미국 무역대표부는 무역법 301조에 근거해 중국 조선·해운 산업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고, 지난 4월 중국이 이들 산업을 장악 목표 산업으로 삼아 자국 업체들에 특혜를 몰아준 것으로 판단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에 따라 중국 운항 또는 중국 소유 선박이 미국 항만에 입항할 경우 선박의 순t당 50달러를 부과하는 입항 수수료가 이날부터 부과됐다. 입항 수수료는 2028년까지 t당 140달러까지 인상될 예정이다.
USTR은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에는 톤 기준 2025년 18달러→2028년 33달러과 컨테이너 기준 2025년 120달러→2028년 250달러 중 높은 비용을 입항 수수료로 부과하기로 하는 등 중국에 대한 제재 수준을 높였다.
이러한 조치로 그동안 저렴한 중국산 선박을 이용했던 해운사들이 수수료 부담을 피하기 위해 중국의 경쟁국에 선박을 발주할 가능성이 커졌고, 한국은 최대 수혜국으로 여겨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한국과의 건조 협력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한국이 미국의 건조경쟁력 강화에 적극 협조하는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까지 탄생하면서 미국에 한화필리조선소를 보유한 한화오션은 가장 큰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화그룹의 해운자회사인 한화해운도 지난 3월 USTR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선박을 미국에서 건조하는 데 필요한 경제성을 확보하려면 입항 수수료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조치가 이에 대한 보복 조치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울러 중국의 조치는 미국에 대한 맞대응인 동시에 중국의 조선 분야 최대 경쟁국인 한국에 대한 견제로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천문학적인 입항 수수료를 부과한 미국에 반격하는 동시에 한국을 향해 줄을 제대로 서라는 일종의 견제구를 날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대변인실 명의 공지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중 통상 채널을 가동해 소통 및 대응 중”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마스가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 등은 이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해당 기업과 중국 기업 간 거래가 많지 않아 당장의 영향은 제한적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추가 제재 가능성은 예단하기 어려우나 계속 예의주시하겠다”고 덧붙였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