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거주하는 '끼인세대'(35세 이상 54세)의 정책 소외 해소를 통한 사회통합 및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약 918억 원 투입
![]() |
부산광역시 시청 전경. / 사진 : 부산광역시 제공 |
[대한경제=김옥찬 기자] 부산시가 경제활동의 주축인 청년기를 졸업하고 노년기를 준비하는 35 ~54세를 끼인 세대로 설정하고 지원 종합계획을 확대 운영한다.
부산시는 14일 부산에 거주하는 '끼인세대'를 지원하는 ‘제1차 부산광역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전국 최초로 제정된 ‘부산광역시 끼인세대 지원 조례’에 따라 4년마다 수립하는 종합계획이다.
‘끼인세대’란 ‘부산광역시 끼인세대 지원 조례’의 제2조에 따라 '부산광역시에 주소를 두고 거주하는 35세 이상 55세 미만의 사람'을 의미한다.
부산시에 따르면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 동안 약 91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끼인세대에서, 키(Key)세대로'라는 슬로건으로 '끼인세대'의 정책 소외감을 해소해 사회통합 및 경제 활력 제고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종합계획은 '생애주기 지원 실현으로 다함께 행복한 부산'을 비전으로 △일자리 △역량개발·교육 △주거안정·금융 △문화·여가 △출산·양육 △노후준비·건강의 6대 분야에 32개 지원사업으로 구성된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경력단절 여성의 구직활동 지원, 이직이나 전직을 위한 자격증 취득 지원 등을 신규로 추진하고, 40~50대를 채용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역량개발·교육 분야에서는 직장인이 디지털 전환 등 변화에 맞춰 직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을 지원한다.
주거안정·금융 분야의 신규 사업으로는 폐업한 소상공인 중 정규직 또는 1년 이상 계약직으로 취업한 사람을 대상으로 월 30만 원씩 6개월간 개인 납입액만큼 100%를 매칭해 지원하는 희망두배통장 지원 사업이 포함됐다.
문화·여가 분야에서는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동반할 경우 공공 체육.문화시설을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산형 어린이 패스트트랙’과 끼인 세대 부모와 영유아 자녀가 함께 관함하는 동연 운영을 추진했다.
출산·양육 분야에서는 산후조리비 지원, 어린이 대중교통요금 무료 지원 등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기존 사업과 함께 내년에 40세 이상 여성의 건강한 출산을 지원하는 ‘부산 40+ 산모 행복 패키지’ 지원 사업을 신설했다.
노후준비·건강 분야 중 신규 사업인 자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자녀와 부모를 동시에 부양해야하는 끼인 세대의 저축,투자,절세,부동산 등 경제 교육을 지원한다.
끼인 세대 지원 조례를 발의한 김태효 부산시의원은 “끼인 세대는 그동안 청년이나 노년에 비해 지원 사업이나 예산이 부족했고, 정책 대상으로 인식되지 못했다”면서 “이번 종합 계획이 끼인 세대를 경제 활동 인구로 정착 시키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제1차 부산광역시 끼인 세대 지원 종합계획’과 지속적인 신규사업 발굴을 통해 끼인 세대의 정책 소외를 해소하고, 사회통합과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며 “이를 통해 '끼인 세대'가 '키(Key)세대'로서 자긍심을 높이고, '다함께 행복한 부산'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부산=김옥찬 기자 kochan20@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