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성군청 전경 모습 / 사진 : 홍성군 제공 |
[대한경제=나경화 기자] 홍성군이 ‘청년 고독 문제 앞장서’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청년 고독사 예방사업을 위해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 지원사업’ 추진을 알렸지만, 정작 사업은 3개월짜리 사업에 준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홍성군은 2025년 보건복지부 신규 시범사업인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 지원사업’에 충남에서 유일하게 참여해 국비 2000만원, 도비 1200만원, 군비 800만원 등 총 4000만원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사업수행기관으로는 홍성군가족센터를 지정해 홍보·상담·사례관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군은 예산 집행이 늦어졌다는 이유로 올해 10월부터 12월까지 단 3개월 동안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사업의 핵심 대상인 고독사 고위험군 청년에 대한 기초 데이터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태로 3개월짜리 단기 홍보사업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군은 지난 상반기부터 ‘청년 고립·고독 예방’이라는 명분으로 각종 홍보활동을 벌였지만, 정작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청년은 “한두 건에 불과한 미미한 상태”라고 인정했다.
더욱이 현재까지 홍성군 내에서 청년 고독사 사례도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은 한 건도 없으며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충남도 고독사 183건 중 19세 이하는 아예 없으며 20대도 6건에 불과하다.
결국 고위험군 발굴이 사실상 전무한 상태에서 예산의 상당 부분이 홍보성 지출로 쓰일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처럼 핵심 데이터 구축과 인적 네트워크 형성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독사 예방사업’을 외쳐봤자 행정적 ‘성과 부풀리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결국 ‘청년 고독 문제에 앞장서겠다’는 구호가 진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단기 홍보성 사업이 아니라, 장기 데이터 구축과 지역사회 기반의 돌봄 네트워크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군민 A씨는 “청년 고독사 문제는 데이터 기반의 정밀한 발굴과 상담 체계 구축이 핵심인데, 홍성군은 대상자 파악도 안 된 상태에서 보여주기식 캠페인만 하고 있다”며 “사업 기간이 3개월이라면 실질적 성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군이 의지는 있지만 체계적인 준비가 많이 부족한 것 같다”고 꼬집었다.
박성래 홍성군 복지정책과장은 “청년들의 사회적 고립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가족·이웃과 단절된 청년들이 다시 사회와 연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24년 10월 보건복지부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 자료 발표에 따르면 충남의 최근 5년간 고독사 발생은 2019년 167건, 2020년 193건, 2021년 175건, 2022년 172건, 2023년 183건 등 연평균 2.3%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홍성=나경화 기자 nkh67@daum.ne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