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KT 이노베이션 허브’ 개소
![]() |
| KT가 국내 산업계 AX를 위한 KT 이노베이션 허브를 KT 광화문 West 빌딩에 개소했다. KT와 마이크로소프트 임직원들은 20일 개소식에 참석해 AX 관련 전시물을 관람했다. 사진은 KT 김영섭 대표(왼쪽)와 마이크로소프트 마르코 마이모네(오른쪽)가 KT 이노베이션 허브의 전시물을 체험하는 모습. /사진:KT |
아이티센엔텍, 우체국보험 통해 보험 AX 시장 진출
![]() |
| 아이티센엔텍(대표 신장호)은 우체국보험의 ‘AX(AI Transformation) 환경 구축을 위한 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수주, 금융권 인공지능(AI) 혁신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수주는 아이티센엔텍이 최근 금융IT 시장 관련 분야에서 공고히 다져온 AI 기술력과 전문성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총 3개월간 진행되는 이번 연구용역은 우체국보험이 데이터 중심의 알고리즘 기반 운영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체계적인 AI 환경 구축 로드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진:아이티센엔텍 |
SDT, 2025 KPS 가을학회서 국내 연구자를 위한 차세대 양자 기술 솔루션 선보여
![]() |
| 양자표준기술 전문기업 SDT(대표 윤지원)가 오는 21일(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하는 한국물리학회 가을 학술논문발표회 ‘2025 KPS Fall Meeting’에 참가해 국내 기술로 개발한 양자컴퓨터 핵심 연구 장비들을 대거 선보인다. 사진은 SDT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지원을 통해 개발한 국산 CCU (Coincidence Counting Unit). /사진:SDT |
LGU+, 고객 맞춤형 AI로 새로워진 ‘익시오 2.0’ 공개
![]() |
| LG유플러스가 개인 맞춤형 기능을 추가한 ‘익시오(ixi-O) 2.0’을 20일 공개했다. 단순 기록이나 반복 업무를 넘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답변을 제공하는 AI를 활용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익시오는 실시간 보이스피싱 탐지 기능과 통화 녹음 및 요약, 보이는 전화 등 기능을 온디바이스(On-device) 환경에서 제공하는 AI 통화 앱이다. 기존 익시오 1.0 버전에서는 위변조된 목소리까지 탐지하는 ‘안티딥보이스’ 기능을 추가하는 등 고객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보안 기능이 최대 강점이다. /사진:LG유플러스 |
SKT, ‘Table 2025’ 개최… 3000명 고객께 특별한 미식 경험 제공
![]() |
| SK텔레콤은 연말을 앞두고 T멤버십 미식 행사 ‘Table 2025’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서울 한 호텔에서 300명 고객을 초청했던 행사가, 올해는 전국 10개 주요 호텔과 3000명 초청으로 규모를 대폭 키워 더 많은 고객에게 특별한 순간을 선물할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2025’가 진행되는 호텔은 ▲서울시에 위치한 비스타 워커힐 호텔 <더 뷔페>, 포시즌스 호텔 <더 마켓 키친> ▲인천시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셰프스 키친> ▲경기도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판교 <데메테르> ▲강원도 카시아 속초 <비스타> ▲대전시 호텔인터시티 <타블도트> ▲대구시 메리어트 호텔 <어반 키친> ▲부산시 시그니엘 <더 뷰> ▲광주시 라마다 플라자 바이 윈덤 <파라뷰> ▲제주도 그랜드 하얏트 호텔 <그랜드 키친 뷔페> 등이다. /사진:SK텔레콤 |
엠넷플러스, 폭발적 성장세 발판 삼아 차세대 핵심 인재 대규모 영입
![]() |
| CJ ENM의 글로벌 K-POP 콘텐츠 플랫폼 엠넷플러스(Mnet Plus)가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해 22개 직무 전 직군 공개 채용을 실시한다. 이번 채용은 개발·프로덕트·마케팅·플랫폼·콘텐츠·사업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며, 지난해 개발자 중심 채용 대비 범위와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지원 자격은 직무별로 상이하나, K-POP 콘텐츠와 글로벌 플랫폼 산업에 열정을 가진 인재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모집 기간은 10월 20일부터 11월 9일까지이며, 지원은 CJ그룹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엠넷플러스는 전 세계 251개 국가 및 지역에서 서비스되는 글로벌 K-POP 콘텐츠 플랫폼이다. /사진:CJ ENM |
심화영 기자 doroth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