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7번 만났다” vs 오 “거짓말에 능한 사람”
서울시 “대질, 시장 측 요청으로 성사”
한강버스ㆍ마을버스 논란 재점화
여야, 부동산 대책 공방 재현도
![]() |
명태균 씨가 2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2025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오세훈 서울시장. / 사진 : 안윤수 기자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오늘 오세훈한테 빚 받으러 왔다”며 국정감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사실관계는 검찰에서 밝히겠다”는 오세훈 서울시장은 말을 아꼈고, 여야 의원들 사이에선 서울시 주요 정책을 둘러싼 공방이 이어졌다.
명 씨는 2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내가 단 한 번 말 틀린 적 있느냐. 오늘 오세훈한테 빚 받으러 온 거다. 빚 청산 안 해주면 그 XX가 거짓말쟁이네”라고 말했다.
이후 국감장에서도 오 시장을 향해 “교도소에 구속돼 있었는데 오 시장이 나를 고발했다. 같이 일을 하며 도왔는데 쫀쫀하게 고발을 했다”고 흥분한 상태로 목소리를 높였다.
오 시장은 “저 사람은 거짓말에 굉장히 능한 사람”이라고 짧게 반박했지만, 구체적인 해명은 피했다. 이어 “답변을 자제할 수밖에 없다. 사실관계는 검찰과 특검에서 밝혀질 것”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오 시장은 “5월에 검찰에 대질을 강력히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번에 특검에서 받아들여져 11월 8일 대질신문이 이뤄질 예정”이라며 “대질에서 밝히고 싶은 게 많다. 여기서 밑천을 쓸 이유가 없다”고 했다.
서울시는 이날 오후 이종현 민생소통특보 명의로 “명태균이 언급한 11월 8일 대질조사는 오 시장 측 변호인이 10월 22일 특검팀에 요청해 성사된 절차”라며 “명 씨 주장이 아닌 오 시장 측 요청에 따른 것임을 알린다”고 공지했다.
명 씨는 국회의원들의 질의가 이어지자 거듭 감정이 격화된 모습을 보였다. 답변 도중 목소리를 높이거나, 질문 내용에 불쾌감을 숨기지 못한 채 날 선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이 “전과 5범이냐”고 묻자, 명태균 씨는 격앙된 목소리로 “교도소에서 자살할까봐 불을 계속 켜놓는 바람에 시력이 다 가버렸다. 기사가 안 보인다. 안경을 좀 사달라”고 말했다. 의원석을 향해 손짓하며 불쾌감을 드러내자 국감장은 한때 술렁이기도 했다.
명 씨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의원의 질의에서 “김영선 전 의원이 여의도에서 오세훈을 소개시켜주려 했는데, 배신형 얼굴이라며 피했다. 그래도 계속 만나보라 해서 결국 광진구 구의동 중국집에서 12월 9일에 만났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협 사무실에서도 만났고, 김종인, 조은희 전 구청장도 같이 봤다”며 “23일 청국장집, 27일도 청국잡집에서 만났다. 30일날은 장어집에서 만나고”라고 했다. 이어 “오 시장이 두 번 만났다는 건 거짓말”이라며 “7번 만났다”고 재차 강조했다.
![]() |
23일 명태균 씨가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사진 : 안윤수 기자 |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한강버스, 마을버스, 부동산 등 서울시 주요 현안을 둘러싼 공방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한강버스가 아니라 공공유람선이라고 해야 한다”며 “마곡에서 잠실까지 2시간 넘게 걸리는데 이걸 대중교통이라 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박정현 의원도 “잠실에서 마곡까지 따릉이는 1시간 48분, 한강버스는 127분”이라며 “교통수단이라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교통이라는 게 꼭 빨라야 되나”라고 반문했다. “한강버스는 교통과 관광의 기능을 함께 갖는다”며 “서둘러 진행하다 보니 미흡한 부분이 있었지만 11월 초 정식 운항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출퇴근 운항은 “배 12척이 모두 들어오면 내년 봄부터 가능하다”고 했다.
서울 마을버스운송조합이 환승 손실금 보전과 요금 인상을 요구하며 ‘환승체계 탈퇴’를 언급한 데 대해서는 “여객운송법상 서울시와 협의 없이 탈퇴할 수 없도록 돼 있다”며 “면허취소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업체의 도덕적 해이 논란에 대해선 “있다”고 인정하며 “배당을 실시할 경우 보조금을 환수하겠다”고 했다.
부동산 정책을 둘러싼 공방도 거셌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은 “토지거래구역을 지정했다가 3개월 만에 해제해 시장을 자극했다”고 지적했지만, 오 시장은 “서울시가 할 수 있는 건 다 했다”고 맞섰다. 그는 “이번 대책에 대한 시민 반응은 실망과 패닉에 가깝다”고도 했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