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40 탈석탄’과 연계…석탄ㆍ암모니아 혼소 제외될 듯
전력거래소 “최대한 연내 재공고”라지만…흥행 불투명
![]() |
| 삼척그린파워 암모니아 저장탱크 조감도./ 남부발전 제공 |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전력당국이 ‘2025년 청정수소발전(CHPS) 경쟁입찰’ 마감 당일 입찰공고를 전격 취소하면서 발전업계에 파장이 일고 있다. CHPS 발전방식 중 하나인 석탄ㆍ암모니아 혼소 방식이 정부의 ‘2040 탈석탄’ 계획과 충돌하기 때문인데, 추후 재공고하더라도 흥행은 불투명할 전망이다.
23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거래소는 지난 17일 CHPS 경쟁입찰 취소 공고를 내고 관련 일정을 전면 중단했다. 사전 예고조차 없었다.
앞서 전력거래소는 지난 5월 연간 3000GWh 규모의 CHPS 입찰공고를 내고, 9월말부터 입찰제안서를 받아왔다. 해당 사업은 석탄화력 폐쇄를 앞둔 발전공기업을 중심으로 관심이 컸으나, 별다른 설명도 없이 돌연 입찰 일정이 연기된 것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새로운 공고로 대체하기 위해 입찰을 취소했다”며 “아직 세부적인 수정조건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최대한 연내에 다시 공고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에너지 업계에선 이번 입찰 취소가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탈석탄 계획과 연관돼 있다고 분석한다. 정부는 2040년까지 모든 석탄화력 폐쇄를 목표로 정책 방향을 잡고 있다.
당초 CHPS 입찰공고에 따르면 낙찰 사업자는 최대 48개월의 준비기간을 거쳐 수소화합물(암모니아) 혼소 또는 전소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향후 15년 전력을 판매할 수 있도록 했다. 연말에 사업자를 선정한다고 가정해도 2044년까지 석탄 혼소 발전이 유지되는 셈인데, 이럴 경우 석탄화력 폐쇄 목표 시점인 2040년 넘어선다. 이에 따라 전력거래소는 석탄 혼소 발전의 계약기간을 2040년으로 맞추거나, 아예 제외하는 방식을 새롭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발전업계는 당황스러워 한다. 입찰공고가 돌연 취소된 것도 그렇지만, 계약기간이 2040년에 맞춰 줄어들 경우 수익성 보장이 어렵다는 점에서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계약기간이 줄어들면 막대한 비용을 들여 기존 석탄화력을 수소발전 설비로 전환할 이유가 없다”며 “이번 취소는 사실상 CHPS에서 석탄 혼소 방식은 인정하지 않겠다는 선언”이라고 해석했다.
그동안 CHPS 입찰은 석탄이나 LNG(액화천연가스)를 암모니아와 혼소해 발전하는 방식을 제시해 왔다. 수소 전소도 가능하지만, 비용 문제 등으로 아직 시도된 적이 없다.
정부의 수소발전 입찰은 이산화탄소 배출 정도(수소 1㎏ 생산 시 이산화탄소 4㎏ 이하)에 따라 청정수소와 일반수소로 나뉜다. 청정수소 원료는 일반수소 대비 2∼3배 더 비싸다. 때문에 일반수소 입찰은 경쟁이 치열한 반면 청정수소는 그렇지 못하다. 지난해 1차 CHPS 입찰에서도 전체 물량의 10%가 조금 넘는 석탄ㆍ암모니아 혼소 1개 프로젝트만 선정됐다.
결국 추후 재공고가 어떻게 나올지 모르지만, 석탄ㆍ암모니아 혼소가 제외될 경우 경쟁 성립 자체가 힘들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CHPS는 화력발전사 입장에서 퇴출을 앞둔 설비의 활용을 어느 정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나마 매력적이었던 게 사실”이라면서 “석탄ㆍ암모니아 혼소 방식이 퇴출되면 입찰가격 상한선을 올리더라도 참여 기업이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신보훈 기자 bb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