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정부ㆍ학계ㆍ시민이 만드는 ‘세종 국가상징구역’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10-28 16:26:58   폰트크기 변경      

[대한경제=이재현 기자]대한민국의 새로운 국정의 중심이자 미래의 행정수도로서의 상징성을 품은 국가상징구역의 밑그림을 두고 정부와 학계, 시민이 함께 머리를 맞댔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28일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강준현ㆍ김종민ㆍ박수현ㆍ황운하 국회의원실과 공동으로 ‘세종 국가상징구역 토론회’를 열고, 국가상징구역의 기본 구상과 향후 발전 방향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들어설 국가상징구역이 어떤 국가적 가치와 철학을 담아낼 것인가를 주제로 개최됐다.

강주엽 청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토론회는 국가상징구역 조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지혜를 모으는 자리”라며 “대한민국의 시대정신과 국민의 기대,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한 비전을 담아낼 수 있는 뜻깊은 논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 중심부 S-1생활권 약 210만㎡ 부지에 조성되는 세종 국가상징구역은 향후 우리나라 국정의 중심이자 국민 통합과 소통의 무대로서, 행정과 입법, 시민을 위한 개방형 공간이 조화롭게 어우러질 예정이다.

행복청은 이번 국제공모를 통해 국가상징구역의 도시계획 및 공간 구조, 주요 건축물 배치, 상징 경관 등을 종합적으로 설계하는 한편, 국민참여 심사제를 도입해 국민이 직접 공간 조성 과정에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도시ㆍ건축ㆍ역사ㆍ조경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국가상징구역의 비전과 정체성을 두고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1부 발제에서 황재훈 충북대 교수는 ‘국가상징구역의 가치와 비전’이라는 주제로 국가상징구역을 시민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수평적․개방적 공간으로 조성하고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을 국민 소통의 중심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임석재 이화여대 교수는 ‘대한민국의 정체성, 역사 공공성으로 정의하기’를 주제로 국가를 상징하는 건축이 갖춰야 할 핵심 개념을 제시했다.

이어진 2부에서는 김도년(성균관대, 도시), 송하엽(중앙대, 건축), 우동선(한국건축역사학회, 역사), 박윤진(오피스박김, 조경)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심층 토론을 이어갔다.

또한 토론회에서는 일반 시민과 대학생 등 다양한 계층이 참석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눴다. A대학에서 도시계획을 연구하는 박모씨는 “국가의 상징이 고정된 무언가가 아니라, 국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란 메시지가 새로웠다”며 “앞으로 공모 과정에도 적극 참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국제공모는 오는 11월 20일까지 작품을 접수 받아 국민 참여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12월 중순 당선작을 발표한다.

행복청은 앞으로도 설계공모, 도시계획 수립, 건축설계 등 후속 절차마다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창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재현 기자 lj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경제부
이재현 기자
ljh@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