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천마총 금관 모형’을 선물한 뒤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김광호 기자] 대통령실은 7일 한미 관세ㆍ안보 분야 협상 타결 결과를 담은 공동 설명 자료 ‘조인트 팩트시트’와 관련해 “양국이 조율 중이며 이 과정에서 추가 의견 수렴 등이 필요해 최종 발표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미국에서 (정리된) 텍스트를 한 번 더 유관 부서 간에 리뷰(검토)하는 과정에 있다고 하고 이 과정에서 일부 부서 의견을 추가로 수렴해야 하는 수요가 생긴 것 같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처럼 상황이 조금씩 계속 바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어떻게 예측해야 할지 확실하지 않다”며 “다만 우리로서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우리 입장을 관철하도록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당초 이번 주 중 팩트시트 발표가 가능할 것이란 대통령실의 전망이 달라지는 것이냐는 질문에 “단정적으로 말씀은 못 드린다”며 “이번 주 중 안 된다고 말하기도 어렵다고 답변했다.
이어 “단지 다시 협의를 해나가는 과정 속에 있는 것이고 협의 내용이 아주 구체적으로 나와있지는 않기 때문에 이슈를 확인한 정도이지 표현을 놓고 주고받고 하는 단계까지 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그래서 만일 우리의 주장대로 종래로 돌아가 결정되면 빨리 (발표가) 될 수도 있고, 새 문안으로 다시 하게 되면 오늘내일 모레 안 될 수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원자력추진 잠수함 관련 내용이 이번 팩트시트 안보 분야에 들어가느냐는 물음엔 “양 정상이 논의한 주 이슈들은 커버를 다 한다”며 포함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왜 지연되느냐, 그런 이슈들이 합의문으로 정리돼 있지 않냐”며 “랭귀지(표현)에 대해 좀 고치자, 넣자 빼자 의견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어떻게 바뀐다는 제안이 된 것은 없기 때문에 시한이 걸릴 수도 있고, 협상이 없고 종래로 돌아간다면 바로 (발표)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원자력잠수함 건조 방법과 관련해선 선체 및 원자로는 한국에서 만들고, 연료로 쓰이는 농축 우라늄은 미국에서 들여오겠다는 것이 현재 정부의 방침이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선체 건조 장소를 미국의 ‘필리조선소’로 거론하며 혼선이 생긴 데 대해선 “(한미) 정상 간 대화에서는 한국에서 짓는 것으로 논의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광호 기자 kkangho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