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러스터 : 이미지투데이 |
[대한경제=한형용 기자] 미ㆍ중 반도체 패권 경쟁의 불똥이 배터리 공급망으로 옮겨붙었다. 중국 정부는 반도체 원료인 갈륨ㆍ게르마늄에 이어 이차전지용 음극재 원료인 흑연의 수출통제에 나섰고, 기업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다만 정부가 중국과의 원활한 협력관계를 제안하고 있는 만큼 애로사항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흑연 수출 통제 물품을 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오는 12월부터 기존 수출 통제 대상이던 인조흑연에 더해 이차전지 음극재용 고순도 천연흑연 등을 새로 통제 대상에 올린 게 핵심이다.
우리 정부도 즉각 대처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30∼31일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서 열린 한ㆍ중ㆍ일 3국 지역 경제 협력 협의체인 ‘환황해 경제ㆍ기술 교류회’를 계기로 진행된 한ㆍ중 산업 당국 국장급 협의에서 흑연 수출 통제에 관한 우리 측의 우려를 표명했다.
김종철 산업부 통상협력국장은 왕리핑 중국 상무부 아주사장(국장)을 만나 최근 중국 정부의 흑연 수출 통제 조치 발표로 인한 지역 내 배터리 공급망 불안 우려를 전달하면서 원만한 공급망 협력 관계 유지를 위한 양국 간 긴밀한 소통을 당부했다.
여기에 약 4년 만에 재개될 한ㆍ중ㆍ일 정상회의도 주목받고 있다. 3국은 현재 11월 말 부산에서 한ㆍ일ㆍ중 외교장관 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3국 모두 협력에 대한 의지가 강한만큼 배터리 공급망 등의 문제를 해소할 단초를 마련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중국과 일본, 한국은 가까이에 있는 이웃으로, 우리는 3국 협력을 하는 것이 3국의 공동이익에 들어맞는다고 본다”며 “3국은 중일한 외교장관 회의의 시기에 관해 소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다만 업계는 불안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이 배터리로 확대되는 분위기”라며 “이대로라면 미국에 진출한 우리 배터리 업체들은 중국에서 흑연을 들여오는 데 어려움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중국과의 외교를 통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인조 흑연 생산은 물론 마다가스카르ㆍ탄자니아(천연흑연), 일본(인조흑연) 등 조달처를 다변화하기 위한 변화도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한형용 기자 je8da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