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하는 김정은/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국빈방문으로 북러 간 밀착관계가 더욱 강화되며 국제사회 대결구도와 한반도를 위시한 지정학적 갈등이 한층 더 첨예해지고 있다.
북러는 이번 방북과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관계를 격상하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하고, 이미 진행 중인 군사 협력은 물론 첨단기술ㆍ경제ㆍ문화ㆍ인력분야까지 전방위적 협력 확대를 도모한다.
푸틴 대통령은 18일 북한 방문을 앞두고 공개된 노동신문 기고문에서 국제사회의 금융제재를 받는 북한이 미국 중심의 국제 금융시스템과 기축통화인 달러화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자체적인 북러 무역ㆍ결제 시스템 구축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또한 △유라시아에서 평등하고 불가분리적인 안전구조 건설 △인도주의적인 협조 발전 △북러 고등교육 기관 간 과학 활동 활성화 △상호 관광 여행ㆍ문화 및 교육ㆍ청년ㆍ체육 교류 활성화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19일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명할 것으로 예상되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등에 담길 것으로 보인다.
유리 우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보좌관은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협정 체결과 함께 경제ㆍ에너지ㆍ교통ㆍ국제 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비공식 대화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민감한 사안’은 군사 자산ㆍ기술 협력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한미에 대응한 군사전력 고도화를 꾀하는 북한으로서는 러시아의 기술 지원이 절실하고, 러시아로서는 전쟁에 사용할 포탄 등 제공과 함께 외교ㆍ전략적 차원으로도 북한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것이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푸틴은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집중하는 대신 군사와 경제 자원을 전 세계에 분산하도록 강제하려고 한다”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북한에 다양한 군사기술을 제공하기로 합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한미를 비롯한 국제사회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대응 공조를 강화하는 모양새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관련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러시아 측에 일정한 선을 넘지 말라는 경고성 소통을 한 바 있다”고 전했다.
존 커비 미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도 “러시아가 스스로 찬성표를 던진 비확산과 관련된 것을 포함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존중할 것을 요청한다”면서 “우리는 동맹ㆍ파트너 국가와 계속 모니터링하고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북러 밀착관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고리로 이뤄진 만큼 내용ㆍ시한적으로 제약이 따를 것이란 견해도 나온다.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최첨단 기술을) 이전하기로 결정하면 러시아가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완전히 잃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마지막 수단으로 남겨둘 가능성이 높다”며 “북한이 러시아에 마지막 수단을 포기하도록 유혹할 만한 것을 많이 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내다봤다.
영국 매체 이코노미스트는 북러 밀착관계가 “지정학적 변화로 인해 브로맨스가 꽃을 피웠지만, 겉보기에 돈독한 그들의 우정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는 지속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승전이 절실한 푸틴의 입장에선 ‘불량국가’로 전락한 북한의 군사 지원이 절박하지만, 종전 시 북한과 군사 협력 관계를 현 수준으로 지속할 경우 경제 복원을 위한 외교ㆍ무역에 있어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