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 발표
부유식 발전, 최대 3GW 별도 배정
공공주도형 시장도 신설…10월 공고 예정
군산 앞바다에 설치된 해상풍력 발전기./ 사진:유니슨 |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정부가 해상풍력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2026년까지 최대 8GW 물량의 입찰공고를 추진한다. 이는 대형원전(1.4GW) 5.7기에 달하는 물량으로, 사업비만 50조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오는 10월 최대 2GW 물량의 공고를 시작으로, 연간 2∼3.5GW 물량을 경쟁입찰해 2030년 풍력 설비 목표치인 18.3GW(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 기준)에 다가선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8일 이 같은 내용의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5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공급망 강화 전략’을 통해 정부 주도의 재생에너지 보급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로드맵은 이러한 전략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담았다.
내년 공고 물량, 작년 대비 2배 이상
해상풍력 경쟁입찰은 2022년 도입된 제도다. 입찰에서 선정된 사업자는 고정가격으로 발전공기업 등 재생에너지 의무공급사와 20년간 장기계약을 맺고 전력을 공급한다. 입찰제 도입 당시 공고 물량은 550㎿, 낙찰물량 99㎿(1개 사업)였는데, 지난해는 공고물량 1.5GW, 낙찰물량 1.431GW(5개)로 늘었고, 올해부터는 연간 2∼3GW로 확대되는 것이다.
해상풍력 발전기는 고정식의 경우 1GW당 5조원, 부유식은 7조∼8조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사업자로서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조달을 위해서라도 장기고정가 계약이 유리하다. 반면, 비교적 투자금이 적은 태양광 사업자들은 경쟁입찰 대신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거래가 가능한 현물시장을 선호한다.
매해 4분기, 연 1회만 진행하던 입찰 시기는 2분기 중으로 앞당겨 시행하고, 필요하면 4분기에 추가 공고해 연 1∼2회 진행하기로 했다. 기존 54∼60개월이었던 발전소 준공기한도 60∼78개월로 늘려 사업 기간에 여유를 뒀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입찰물량을 사전에 제시해 국내외 기업의 대규모 해상풍력 투자와 일자리 창출, 항만ㆍ선박 등 관련 기반시설 구축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정식, 부유식 별도 입찰 추진…“부유식 물량 과배정” 시각도
그래픽:조남주 기자 |
이번 로드맵에서 주목할 지점은 고정식, 부유식, 공공주도형으로 분류된 입찰시장이다. 지금까지는 고정식, 부유식 분리 없이 통합 입찰로 진행됐지만 올해부터는 두 시장이 분리된다. 2026년까지 공고될 전체 물량 중 고정식은 4.5∼5GW, 부유식은 2.5∼3GW다. 내년 상반기 도입되는 공공주도형도 이 물량 안에 배정된다.
고정식과 부유식 별도 입찰 여부는 그동안 해상풍력 업계의 주요 관심사였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먼바다에 설치해 고정식 대비 주민 수용성 문제가 적고, 바람이 강해 발전효율이 높다. 다만, 바다에 띄우는 형태로 설치비가 비싸고 기술 표준화가 안돼 있어 국내에서는 상용화가 되지 않았다. 가격 경쟁력을 보유한 고정식 해상풍력 사업자는 통합 입찰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고, 부유식 사업자들은 분리를 주장해왔다.
산업부 관계자는 “고정식과 부유식의 분리 입찰은 내부적으로도 고민이 많았던 사안이었다”며, “설치비, 운영비 등에서 큰 차이가 있는 방식이라 별도 입찰의 방향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발전사업허가를 받은 해상풍력 프로젝트 용량은 약 28GW다. 이 중 고정식은 22GW, 부유식은 6GW 정도다. 분리 입찰이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해도, 발전사업허가 물량을 고려했을 부유식 입찰 물량은 과도하다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해상풍력 업계 관계자는 “아직 기술적인 검증이 끝나지 않았고, 가격도 더 비싼 부유식 물량이 3GW나 배정된 것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라며 “로드맵의 목표가 해상풍력 보급 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라면 고정식의 물량을 더 배정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개설될 공공주도형 물량도 대부분 고정식으로 예상된다”면서 “민간이 추진할 수 있는 고정식 해상풍력 물량은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신보훈 기자 bb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