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지상·공중 결합된 형태로
민간 소유지에 공공성 부여해야
![]() |
강병근 서울특별시 총괄건축가. 안윤수기자 ays77@ |
[대한경제=황은우 기자] “도시의 최소 규모인 ‘셀’의 크기를 직경 800m에서 1㎞ 사이로 정했습니다. 직장, 주거, 여가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수직입체 보행도시’가 들어설 공간이 될 것입니다”
강병근 서울특별시 총괄건축가는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7월1일 열리는 ‘2025 도시와 공간 포럼’ <세션1> ‘도시혁신, 서울과 도쿄의 대화’ 기조강연에서 서울시가 추진하는 100년 미래도시 비전을 소개한다.
강 총괄건축가는 최근 <대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서울 전역에 셀로 설정할 수 있는 구획이 50개 남짓인데, 이 셀마다 수직입체 보행도시를 만들고 연결 및 확장하겠다는 뜻”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수직입체 보행도시는 시민이 15분 내 보행만으로 일상생활을 모두 영위할 수 있는 ‘미니 도시’ 모델이다. 기존 서울의 분산ㆍ수평적 도시구조에서 벗어나, 셀마다 자족성을 갖추게 하면서도 모든 셀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이 강 건축가의 목표인 셈이다.
그는 “수직입체 보행도시는 저층부는 도심을 위해서 제공되는 공적 공간, 고층부는 주거가 중심인 사적 공간으로 결합되는 형태”라고 말했다.
강 총괄건축가는 “국내에서는 민간 소유 공간에 공공적 기능이 부여되고, 또 공간이 개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 토지 대부분이 민간 소유인 만큼, 민간이 공공성을 고려한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서울의 수직입체 보행도시 구상도 실현될 수 있다는 취지다.
그는 “일본에는 용적률 상향 등의 인센티브와 맞교환되는 형태로 이뤄지는 공공기여 제도가 있고, 이를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가 ‘아자부다이 힐스’”라며 “인센티브를 받는 대신 민간이 공공시설 소유와 유지·관리를 맡아서 하고, 이용은 모두가 하는 방식으로 공공성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한국의 공공기여는 지자체가 개발이익 일부를 소규모 공공시설 등으로 환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후 인력과 비용을 들여서 직접 유지·관리에 나선다. 강 건축가는 “일본은 민간이 맡은 일부 공공기여 시설에서 수익까지도 창출한다”고 덧붙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성이 보장됐다는 설명이다.
황은우 기자 tuser@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