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는 11월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게임 디자이너 겸 시나리오 총괄 호리이 유지가 G-CON 2025 무대에 오른다. / 사진: 한국게임산업협회 제공 |
[대한경제=민경환 기자]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가 글로벌 게임산업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른 ‘내러티브(스토리 연출 구조)’를 다룬다. 오는 11월 지스타 콘퍼런스 ‘G-CON 2025’에는 ‘드래곤 퀘스트’,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 등을 탄생시킨 제작자가 연사로 나서 내러티브가 지닌 힘과 노하우를 설명한다.
지스타 조직위원회는 8일 G-CON 연사 라인업을 1차 공개했다. G-CON 2025는 11월 13~14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16개 세션으로 이뤄진 이번 G-CON의 나머지 라인업은 이달 중 공개된다.
G-CON은 게임 산업을 관통하는 핵심 화두인 내러티브를 메인 테마로, 게임은 물론 영화·웹툰·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를 불러 모았다.
첫 번째 세션에는 일본 RPG(역할수행게임)의 창시자이자 거장으로 꼽히는 호리이 유지가 나선다. 호리이 유지는 일본 대형 게임사 스퀘어 에닉스의 대표작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게임 디자이너 겸 시나리오 총괄이다.
호리이는 이 시리즈 스토리텔링과 캐릭터 메이킹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직접 소개한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강력한 올해의 게임(GOTY) 후보로 꼽히는 클레르 옵스퀴르: 33 원정대의 수석 작가 제니퍼 스베드버그-옌을 비롯해 '디스코 엘리시움'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로버트 쿠르비츠, 웹툰 '닥터 프로스트'의 이종범 작가가 나선다.
스베드버그-옌은 JRPG(일본풍 역할수행게임) 특유의 감성과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새로운 서사 경험을 선보였고, 로버트 쿠르비츠는 플레이어가 선택과 대화를 통해 사회 구조와 인간 심리를 탐구할 수 있는 독창적인 내러티브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종범 작가는 이 세션 특별 모더레이터로 참여해 게임 내러티브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 외에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의 장성호 감독, ‘니어: 오토마타’의 요코 타로, ‘킹덤 컴: 딜리버런스 2’의 마틴 클리마, ‘발더스 게이트 3’의 제이슨 라티노 등이 무대에 오른다.
동서양을 막론한 다양한 콘텐츠 스토리 전문가들이 모여 단순한 플레이를 넘어 이야기의 힘으로 게임을 진화시킬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한국 게임 핵심 포트폴리오 중 하나인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전문가도 초청됐다.
‘파이널 판타지 XIV’의 요시다 나오키 프로듀서 겸 디렉터와 오다 반리 선임 스토리 디자이너가 온라인 게임의 서사적 가치와, 전통적 스토리텔링과의 차이에 대해 직접 들려줄 예정이다. 커뮤니티와 세계관이 맞물려 진화하는 MMORPG 서사의 본질을 심도 있게 조명하는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스타조직위원회 관계자는 “G-CON 2025는 전 세계 창작자들의 내러티브 경험과 철학을 한자리에 모은 유례없는 무대”라며 “게임이라는 울타리를 넘어 문화 전반에 걸쳐 이야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힘과 가능성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민경환 기자 eruta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