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현황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사진: 안윤수기자 ays77@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추진하는 동시에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며 중국이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망 주도권을 쥐고 있는 상황을 극복해야 합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9일 <대한경제>가 서울 강남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개최한 ‘제2회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포럼’에서 국내 업체들의 미래 경쟁력 확보 방안과 관련해 이 같이 설명했다.
이날 조 연구위원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현황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는데, 먼저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점을 짚었다. 세계 배터리 생산과 매출규모에서 CATL 등 중국 업체가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양극재와 음극재 등 핵심 원자재 생산 분야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선두권에 포진했다는 설명이다.
또 글로벌 완성차업계 전반에 걸쳐 전기차 가격인하 압박이 강해지면서, 가격이 저렴하고 중국 업체들이 강세를 보이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채용 사례가 늘어나는 점도 지적했다.
조 연구위원은 “중국이 공급을 중단하면 전 세계적으로 생산 자체가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글로벌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LFP 배터리를 국내 업체들도 생산해야 할지, 생산한다면 어떤 식으로 경쟁력을 가져올 수 있을지도 고민거리”라고 밝혔다.
이에 조 연구위원은 국내 업체들의 공급망 다변화 추진 필요성을 언급했다. 음극재와 흑연 등 일부 품목은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이지만, 나머지 대다수 품목들은 타국에서도 얼마든지 수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중국 광물을 배제하는 법안들의 다수 발의된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공급망을 분산하고, 세계 주요 지역에 생산공장을 적절히 배치한다면 이를 기회로 가져올 수 있다는 게 조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그는 “가격 경쟁력과 성능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도 필요하다”며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더하기 위해 국가에서 개선해야할 규제, 혹은 지원해줄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