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중국 압도할 기술개발 시급…글로벌시장서 삼원계 배터리 유망”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3-09-19 17:27:58   폰트크기 변경      
[2023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포럼] 토론 지상중계

LFP 앞세운 중국 뛰어넘을 전고체ㆍ리사이클링ㆍ규제개선 강조


19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3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포럼’ 패널 토론에서는 차세대 기술 선점을 위한 방안과 차세대 기술 및 품목 다변화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 사진 : 안윤수 기자 ays77@


[대한경제=한형용ㆍ강주현 기자] “배터리 초격차 기술력이 곧 시장 패권의 성패를 가늠하게 될 것이다.”

19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3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포럼’ 패널 토론에서는 차세대 기술 개발과 품목 다변화, 자국 생산 등 3가지 화두가 던져졌다. 한국 기업들이 저가 LFP 배터리를 앞세운 중국에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는 데 대한 우려를 해소할 미래 청사진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배터리 기업을 압도할 초격차 기술 개발과 국내 기술력 확보를 강조했다. 패널인 정훈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차세대 기술개발 대상으로 전고체 배터리를 꼽았다. 정 책임연구원은 “소재, 설계, 공정적 한계에 의한 리튬이온전지의 고에너지 밀도화가 정체기에 돌입했으며, 원자재 가격 시장의 불안전성도 심화되고 있다”며 배터리 시장을 진단한 데 이어 “기존 리튬이온전지는 전해질로 액체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는데 때문에 발화 위험요소를 지닌 만큼 안전성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는 차세대 전고체 전기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불이 붙지 않는 고체를 전해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리튬이온전지보다 위험도가 매우 낮다.

전문가들은 특히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에 주목했다. 중국계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와 경쟁에서 우리 기업들이 강점을 가진 삼원계 배터리의 시장 패권 확보 전략이라는 설명이다.

좌정을 맡은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LFP는 경제적이지만, 최근 알려진 것으로는 (중국에서) 사용 후 땅에 묻는 것으로 전해진다”며 “리사이클링 문제가 부각되면 글로벌 시장에서는 통할 수 없고, 결국 삼원계 배터리가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문제와 재활용 사업성을 따지면 우리 배터리 주종목인 삼원계(NCMㆍ니켈코발트망간, NCAㆍ니켈코발트알루미늄 등) 배터리가 LFP 배터리보다 가격경쟁력이 뛰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책임연구원도 “유럽 시장에서는 이미 배터리 재사용이 규정화된 상태”라며 “재사용 규제가 강화된다면 삼원계가 분명 유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EU는 지난 3월 공개한 핵심원자재법(CRMA)에는 폐배터리 내 포함된 핵심 광물을 최대 45%까지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수집ㆍ분류ㆍ처리 시설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무를 규정했다.

초격차 기술 개발을 위한 배터리 핵심 원료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견해에는 모두가 동의했다. 패널인 조철 산업연구원 시스템산업실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배터리) 원료가 존재하지만, 중국 없이 배터리를 만들 수 없을 정도는 아니다”라며 “전기차에 싼 가격과 안정성을 위해 인산, 철, 리튬, 이온 배터리의 채택이 늘고 있는데, 가격 경쟁력과 성능 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유럽시장에서 LG엔솔과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업체의 점유율은 73%에 달하고 있지만, 우리 기업들의 중국에 대한 핵심 원료 의존도가 90%에 달한 데 따른 개선책이다.

패널로 참여한 문준혁 산업통상자원부 배터리과 사무관도 “고용량 인산철 양극재 기술개발 사업과 범용성이 높은 나트륨 등의 소재를 대신 사용하는 배터리 개발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기술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는 정부와 대기업의 연구개발(R&D) 분야 장기투자와 인센티브 지원이 꼽혔다. 정 책임연구원은 “정부의 장기로드맵은 5년가량이나, 미국 등 해외는 7년 이상을 내다보고 있다”며 “삼성이나 LG 등도 미국에는 장기적 투자를 하지만, 정작 국내에는 연구소나 대학에 소규모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나 일본보다 앞선 우리나라 R&D 분야까지 (투자 소홀로) 해외로 빠져나간다면 차세대 기술 환경은 더 악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 연구위원은 “미국은 배터리 생산에 따른 인센티브와 미국산 배터리를 사용할 때 자동차 보조금까지 더해주는데 우리는 과연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3개 부처로 분산된 배터리 분야 업무 시스템을 하나로 묶을 방안이 필요하다고 의견도 제시됐다. 김 교수는 “전기차나 배터리 등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부처 간 업무 효율성을 검토해야 할 때”라며 “그래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국토교통부는 배터리 장착, 산업부는 배터리 제작, 환경부는 배터리 탈거 후와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다보니 배터리 기술개발과 생산 등을 총괄할 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한형용ㆍ강주현 기자 je8da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한형용 기자
je8day@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